[헬스코리아뉴스 / 안상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며 결국 오는 6일로 예정됐던 개학이 또다시 미뤄졌다. 정부 당국은 고3을 시작으로 순차적인 '온라인 개학'에 돌입할 계획이지만, 정상적인 등교가 이뤄지는 개학은 사실상 무기한 연기된 셈이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0학년도 신학기 개학 방안에 따르면, 초·중·고 학생은 오는 6~8일 3일간 '4차 휴업' 기간을 거친 뒤 9일부터 학년별로 순차적 온라인 개학을 시행한다. 학년별 개학이 이뤄지면 첫 이틀은 '원격수업 적응 기간'으로 지정된다. 학생들이 원격수업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출결·평가 방법을 통해 안내받는 일종의 '오리엔테이션' 시간을 갖는 것이다.
온라인 개학은 더는 미룰 수 없는 학사일정 등을 고려한 '불가피한 선택'이지만 혼란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공교육 측면에서는 수업을 준비하는 쪽도, 수업을 받는 쪽도 익숙하지 않은 방식인 만큼 대면 수업과 같은 완벽한 수업이 이뤄질 것이라고는 기대하기 어렵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격차'도 극복해야 한다. 누군가에게는 흔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디지털이라는 환경이 누군가에게는 여전히 낯설기 때문이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실시한 '2019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어민·저소득층·고령층·장애인 등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성과 활용도는 평균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개학 결정이 발표된 이후 디지털 환경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생활하는 '소외계층'이 실시간 쌍방향 소통·콘텐츠 활용·과제 수행 등으로 구성된 온라인 수업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학습 사각지대'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정부는 온라인 개학에 대비해 저소득 가정 학생 등에 대한 스마트 기기 지원 대책을 마련했지만 '1학생 1스마트 기기' 보급이 가능할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경우 보호자의 도움 없이는 온라인 수업을 받기 힘든데, 조손가정 등의 경우 고령의 노인 역시 스마트 기기 등에 익숙하지 않아 자칫 출석이나 과제 수행 등에 불이익을 겪을 수 있다. 또 다른 디지털 취약 계층인 장애 학생의 경우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른 개별화된 학습이 필요한데, 이를 온라인 환경에서 얼마나 구축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사실 디지털 격차는 이번 온라인 개학과 연관된 교육뿐 아니라, 의료·금융 등 생활 곳곳에 퍼져 있는 현대 사회의 문제 중 하나다. 평소 그리 심각하게 여기지 않았던 문제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수면 위로 드러났을 뿐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온라인 개학을 계기로 디지털 격차를 눈여겨보고, 민·관이 합심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디지털 격차가 학습 격차, 나아가 '사회적 격차'를 만드는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
디지털 취약 계층이 배제되거나 소외되지 않도록 디지털 이용 역량을 강화하고, 차별 없는 디지털 환경 조성 등을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