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박정식] 코로나19라는 신종 감염병이 한반도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치료법을 둘러싼 의료계와 한의계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두 직역간의 갈등은 올해 1월20일 우리나라에 첫 코로나19 확진환자 발생으로 촉발됐다. 이후 추가 확진자가 나오면서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은 1월29일 6개 보건의약단체장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첫 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대한한의사협회는 한의약치료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히며 의료계와 한의계간의 갈등이 본격화됐다.
이후 의료계와 한의계는 코로나19 한의약 치료 효과 등을 놓고 공방을 이어갔다.
의료계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사스와 메르스, 코로나19에 대해 한방치료를 권장한 적이 없으며, ▲현재 중국에서 코로나19 환자에게 쓰이는 중약인 청폐배독탕은 위중한 환자에게만 권장되고 있는 점, ▲WHO 보고서에 한약 사용을 권장하거나 긍정적으로 평가한 사실이 없다는 점 등을 들어 코로나19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효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코로나19 한의학 치료는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치료로 규정, 국민을 시험하는 비윤리적 행위이자 장사행위라 비판했다.
이 같은 의료계의 주장에 대해 한의계는 몹시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WHO 홈페이지에는 사스에 대한 한약치료 효과를 적어둔 보고서가 있으며, ▲이는 WHO가 주관하지만 일선에서 직접 사스를 마주한 연구자들이 내놓은 결과물이라고 반박했다.
한의계는 또 중국 위생건강위원회에서 발표한 국가진료지침에는 우리나라 의료계의 주장과 달리, 경증 환자부터 중증환자까지 기본 약물로 청폐배독탕 활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위중증 환자는 환자의 실제 정황에 맞춰서 구제치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의협 최혁용 회장은 “코로나19는 인류가 처음 만나게 된 질병이고, 현재 양방에서 쓰고 있는 모든 약들이 코로나19 환자에게는 써본 적이 없는 치료제”라며 “양방에서는 에볼라, 에이즈, 말라리아, B형간염, 독감 치료제 등 중국진료지침에서 권장하는 약을 다 쓰고 있는 반면 유독 중국진료지침에 포함된 한약을 두고는 안전성과 유효성을 운운하며 활용을 반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코로나19는 지난 1월 초 중국으로부터 처음 소식이 전해진 뒤 약 세 달이 지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19일 오전 9시24분 기준 우리나라 누적 확진자 수는 8413명이며, 사망자는 91명이 나왔다. 신규 확진자 수는 두자릿수로 줄었지만, 여전히 소규모 집단발병 사례가 나오고 있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많은 의료인들이 인류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신종 감염병 코로나19 종식을 위해 지금도 의료현장에서 사투를 벌이는 이유다. 의료계와 한의계는 잠시만이라도 직역 간 다툼을 멈추고 신종 감염병 예방 대책마련에 힘을 모아야 할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