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이시우]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가 의약품에서 발견되는 유전독성불순물을 기존 평가 방법보다 간편하고 싼 비용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케이메디허브 의약생산센터는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사르탄류 의약품 내 존재하는 유전독성불순물 중 하나인 아지도 불순물(AZBT)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해 빠르고 값싸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 국내 특허 출원까지 완료했다고 28일 밝혔다.
사르탄류 의약품의 유전독성불순물은 발암물질의 일종인 N-나이트로소디메틸아민(NDMA)과 N-나이트로소디에틸아민(NDEA) 등의 니트류사민류 불순물과 아지도 불순물(AZBT)이 있다.
그동안 사르탄류의 유전독성불순물 평가방법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프피 질량분석(LC-MS)를 이용한 검출 방법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제약업계는 LC-MS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 현저히 적고, 고가의 장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으로 이를 위탁 수행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케이메디허브 의약생산센터가 자체 개발한 특허는 1일 섭취허용량인 1.5ug/일의 관리수준에서 HPLC로 검출이 가능한 방법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양진혁 이사장은 “현재까지 HPLC로 분석법을 개발한 사례는 없었다”며 “케이메디허브가 개발한 방법은 LC-MS 없이도 HPLC로 유전독성불순물을 검출하여 고가장비에 대한 부담을 없애고 바이오벤처기업들에게 유용한 검출방법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케이메디허브, 2022 한국미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 참석
차세대 진단 플렛폼, 다중진단시스템에 대한 연구 결과 발표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 헬스모니터링팀 연구진이 병원체 미생물을 확인하는 모습. [사진=케이메디허브]](/news/photo/202210/329916_206754_3914.jpg)
한편, 케이메디허브는 10월 30일부터 3일간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진행되는 ‘2022 한국미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2022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에 참가한다.
한국미생물학회는 국내·외 미생물학 발전을 위해 미생물학 연구의 활성화 및 지식보급의 도모를 목적으로 1959년 창립된 미생물 분야의 대표적 학술단체이다.
올해 학술대회는 감염병, 마이크로바이옴, 프로바이오틱스 등의 주제로 다양한 학술행사 및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 헬스모니터링팀 연구진은 차세대 진단 플랫폼, 다중진단시스템 등에 대해 그간의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재단측은 최근 급증하는 감염병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의 필요성 및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만큼 이번 학술교류를 통해 감염성 질환 문제의 해결과 헬스케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진영 이사장은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를 통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활발하게 연구 성과를 교류하고 연구 역량을 집중시킬 수 있는 학술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