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환자의 조영제에 의한 신독성 발생률을 40%에서 15.6%까지 낮추는 새로운 예방법의 효과가 입증됐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신장내과 구자룡 교수는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신장내과 최명진, 순환기내과 최현희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구자룡 교수팀은 지난 2008년 2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조영제 신독성 발생률이 40% 이상으로 예상되는 중증 만성신부전환자 68명을 기존의 방법대로 심혈관조영술 전후에 혈액여과치료를 시행한 경우(23명)와 새로운 방법인 심혈관조영술과 단기간 혈액여과치료를 동시에 시행한 경우(45명)로 나누어 조영제에 의한 급성신부전 발생률을 조사했다.

그 결과, 연구 3일차에는 기존 치료군 17.4%, 새로운 치료군은 15.6% 에서 급성신부전이 발생해 예방효과가 동등했지만 연구 5~30일차에는 기존치료군 30.4%에서 신부전이 발생한 반면 새로운 치료군에서는 신부전 발생률이 6.7%에 불과해 효과적으로 조영제 신독성을 예방했다.
구분 |
심혈관조영술 전후 |
심혈관조영술과 혈액여과치료 |
Day3 |
4명(17.4%) |
7명(15.6%) |
Day 5~30 |
7명(30.4%) |
3명(6.7%) |
구 교수는 “조영제 신독성 발생률이 40% 이상으로 예상되는 고위험군 환자에게 심혈관조영술과 단기간 혈액여과치료를 동시에 시행함으로써 3일째 급성신부전 발생률을 15.6%까지 감소시켰다”며 “이 방법은 심혈관조영술 전후로 혈액여과치료를 시행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훨씬 간편하고 비용은 절반 정도이면서 동등한 3일째 조영제 신독성 예방 효과를 보이고 있고, 5~30일까지 관찰시 더 지속적인 신장손상 예방효과까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심혈관 분야의 SCI 저널인 국제심장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0월호에 게재됐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