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신물질 세계 최초 개발
국내 연구진,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신물질 세계 최초 개발
미토콘드리아 기능 활성화로 치매치료 가능성 높여
  • 이시우
  • admin@hkn24.com
  • 승인 2023.11.08 0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코리아뉴스 / 이시우] 국내 연구진이 미토콘드리아 재활용 과정으로 알려진 미토파지 기능 촉진 신물질(ALT001)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의 새로운 출구 전략을 제시했다.

미토파지(mitophagy)는 손상되었거나 수명이 다한 미토콘드리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새로운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을 촉진하는 일련의 세포 작용을 말한다. 신물질 ‘ALT001’은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발굴한 미토파지 촉진 구조인 이소퀴놀린 스캐폴드를 화학적 최적화를 통해 합성한 새로운 미토파지 촉진물질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8일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윤진호 교수와 의약생명공학과 조종현 교수, 전남대학교 조지훈 교수, ㈜알트메디칼(대표 유은희)로 구성된 연구팀이 협업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미토파지 촉진 신물질(ALT001)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동아대 의과대학 윤진호 교수, 동아대 의약생명공학과 조종현 교수, 전남대 의과대학 조지훈 교수, 알트메디칼 유은희 대표.
왼쪽부터 동아대 의과대학 윤진호 교수, 동아대 의약생명공학과 조종현 교수, 전남대 의과대학 조지훈 교수, 알트메디칼 유은희 대표.

신물질 ALT001은 독성이 낮고 세포 성장을 방해하지 않는 안전성을 입증했으며 동물실험 결과 손상된 인지기능의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등 임상치료 적용이 가능한 치매 치료 물질임을 입증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연구는 주로 아밀로이드 베타 및 타우 단백질에 중점을 두었지만,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이 아밀로이드 베타와 상호작용하여 치매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됐다. 또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유지해주는 미토파지 과정의 촉진이 새로운 치료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임상 적용 가능성이 입증된 미토파지 촉진 화합물의 부재로 인해 실제 미토파지를 통한 치매 치료는 구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진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한 미토파지 활성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화합물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을 진행했다.

화합물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은 많은 화합물들 가운데 특정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발굴하는 실험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화합물들가운데 미토파지 촉진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발굴한다.

스크리닝 분석 결과, 동일한 이소퀴놀린 스캐폴드*를 가진 화합물들이 미토파지 촉진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미토파지 촉진활성이 개선된 화합물을 도출하기 위해 이소퀴놀린 스캐폴드를 화학적 최적화를 통해 개량하여 ALT001이라는 화합물을 개발했다.

이소퀴놀린 스캐폴드은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유기화합물로 약용식물에서 많이 발견되며 전통적으로 항염증, 진통효과등에 사용되어 왔다.

연구진이 개발한 ALT001은 미토파지 활성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며, 세포 성장을 방해하지 않는 안전성까지 보유하여 임상 치료시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마우스 모델에 ALT001을 사용하여 학습 및 기억 능력을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치매 마우스 모델의 학습 및 기억 능력이 회복되는 놀라운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치료 효과는 다른 치매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마우스 모델에서도 확인되었다.

연구를 주관한 동아대 의대 윤진호 교수는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토파지 기반 치료제 개발분야에서 국책사업의 지원과 돕는 손길 덕분에 국내 연구진들이 임상적용까지 가능한 치매 치료물질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감사를 표했다.

윤 교수는 그러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그간 분자기전 검증 약물이 없어 실용화가 어려웠던 미토파지 기반 치매 치료제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라며,“이번 연구성과를 활용한 치매치료제 상용화를 목표로 겸손한 마음으로 후속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지 10월 27일자에 온라인으로 게재되었다.

 

[그림1] 신규 치료물질 ALT001의 미토파지 촉진을 통한 치매치료효과 요약도 신규 미토파지 촉진화합물 ALT001은 대체미토파지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 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며, 동시에 새로운 미토콘드리아의 생합성을 촉진함. 이러한 작용을 통해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의 기능이 회복되며 이는 치매 동물모델 인지기능 개선으로 이어짐.
[그림1] 신규 치료물질 ALT001의 미토파지 촉진을 통한 치매치료효과 요약도

규 미토파지 촉진화합물 ALT001은 대체미토파지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 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며, 동시에 새로운 미토콘드리아의 생합성을 촉진함. 이러한 작용을 통해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의 기능이 회복되며 이는 치매 동물모델 인지기능 개선으로 이어짐.
[그림2] 이소퀴놀린 스캐폴드 변형을 통한 미토파지 촉진물질 ALT001의 개발 (A) 이소퀴놀린 스캐폴드의 최적화를 통해 합성된 유도체들의 모식도. (B) ALT001과 모체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미토파지 활성비교. (C) 미토케이마 형광단백질을 활용한 ALT001의 미토파지 활성검증. 빨간 점상 구조 (red puntate structure)가 미토파지에 의해 리소좀으로 들어가 분해되는 미토콘드리아를 나타냄. (D) CCCP 및 ALT001에 의한 세포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감소 분석.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마커인 TMRM 염색법으로 분석함. (E) CCCP 및 ALT001에 의한 세포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 분석.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의 마커인 MitoSox 염색법으로 분석함. (F) CCCP 및 ALT001에 의한 세포증식여부 분석. CCCP 및 ALT001 처리후 날짜별로 세포수 분석함.
[그림2] 이소퀴놀린 스캐폴드 변형을 통한 미토파지 촉진물질 ALT001의 개발

(A) 이소퀴놀린 스캐폴드의 최적화를 통해 합성된 유도체들의 모식도.
(B) ALT001과 모체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미토파지 활성비교.
(C) 미토케이마 형광단백질을 활용한 ALT001의 미토파지 활성검증. 빨간 점상 구조 (red puntate structure)가 미토파지에 의해 리소좀으로 들어가 분해되는 미토콘드리아를 나타냄.
(D) CCCP 및 ALT001에 의한 세포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감소 분석.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마커인 TMRM 염색법으로 분석함.
(E) CCCP 및 ALT001에 의한 세포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 분석.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의 마커인 MitoSox 염색법으로 분석함. (F) CCCP 및 ALT001에 의한 세포증식여부 분석. CCCP 및 ALT001 처리후 날짜별로 세포수 분석함.
[그림3] ALT001의 대채 미토파지 경로를 통한 미토파지 촉진 기전 규명 - (A) 표준미토파지 경로 마커인 LC3-II form의 증가 분석. CCCP 처리는 6시간부터 LC3-II form의 증가가 확인되는 반면, ALT001 처리는 LC2-II form 증가가 전혀없음. (B) LC3  점상구조 (puncta) 형성 분석. CCCP 처리는 LC3  점상구조를 증가시키나 ALT001은 증가 없음. (C) 표준경로 필수인자인 ATG7 의존성 분석. ATG7 결손은 CCCP에 의한 미토파지 촉진을 억제한 반면, ALT001에 의한 미토파지에는 영향 없음. (D) 표준경로 필수인자인 PINK1 의존성 분석. PINK1 결손은 CCCP에 의한 미토파지 촉진을 억제한 반면, ALT001에 의한 미토파지에는 영향 없음.- (E) 대체미토파지 조절인자인 ULK1의 활성화분석. ALT001은 ULK1 인산화효소를 활성화시킴. (F) 대체미토파지 마커인 Rab9 점상구조 (puncta) 형성 분석. ALT001 처리는 Rab9 점상구조를 증가시킴. 대체 미토파지경로 표준경로 필수인자인 ULK1 (G) 및 Rab9 (H) 의존성 분석. ULK1 (G) 및 Rab9 (H) 결손은 ALT001에 의한 미토파지 촉진을 억제함.
[그림3] ALT001의 대채 미토파지 경로를 통한 미토파지 촉진 기전 규명

(A) 표준미토파지 경로 마커인 LC3-II form의 증가 분석. CCCP 처리는 6시간부터 LC3-II form의 증가가 확인되는 반면, ALT001 처리는 LC2-II form 증가가 전혀없음.
(B) LC3 점상구조 (puncta) 형성 분석. CCCP 처리는 LC3 점상구조를 증가시키나 ALT001은 증가 없음.
(C) 표준경로 필수인자인 ATG7 의존성 분석. ATG7 결손은 CCCP에 의한 미토파지 촉진을 억제한 반면, ALT001에 의한 미토파지에는 영향 없음.
(D) 표준경로 필수인자인 PINK1 의존성 분석. PINK1 결손은 CCCP에 의한 미토파지 촉진을 억제한 반면, ALT001에 의한 미토파지에는 영향 없음.
(E) 대체미토파지 조절인자인 ULK1의 활성화분석. ALT001은 ULK1 인산화효소를 활성화시킴. (F) 대체미토파지 마커인 Rab9 점상구조 (puncta) 형성 분석. ALT001 처리는 Rab9 점상구조를 증가시킴. 대체 미토파지경로 표준경로 필수인자인 ULK1 (G) 및 Rab9 (H) 의존성 분석. ULK1 (G) 및 Rab9 (H) 결손은 ALT001에 의한 미토파지 촉진을 억제함.
[그림4] ALT001에 의한 치매동물모델들의 치료효과 검증- (A) 모리스 수조미로 분석. ALT001을 4주간 투여후 일주일간의 훈련을 실시하고 모리스 수조미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야생형 마우스는 학습을 통해 파란원으로 표시된 도피대의 위치를 기억하였으나, PS2APP 치매마우스는 도피대를 기억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짐. 반면, ALT001을 처리한 PS2APP 치매마우스는 학습 및 기억능력이 야생형 마우스의 수준으로 회복됨.- (B) 장기강화 (LTP) 분석. 야생형 마우스 (검은원)에 비해 5xFAD 치매마우스(파란원)는 기억의 지표인 LTP 유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ALT001 투여에 의해 LTP 형성이 야생형 마우스의 수준으로 회복됨.- (C) Tg2576 치매마우스에서 장기강화 (LTP) 분석. 대조군 Tg2576 마우스 (흰원)에 비해 ALT001를 투여한 Tg2576 마우스 그룹(검은원)은 LTP 형성이 현저히 회복됨.
[그림4] ALT001에 의한 치매동물모델들의 치료효과 검증

(A) 모리스 수조미로 분석. ALT001을 4주간 투여후 일주일간의 훈련을 실시하고 모리스 수조미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야생형 마우스는 학습을 통해 파란원으로 표시된 도피대의 위치를 기억하였으나, PS2APP 치매마우스는 도피대를 기억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짐. 반면, ALT001을 처리한 PS2APP 치매마우스는 학습 및 기억능력이 야생형 마우스의 수준으로 회복됨.
(B) 장기강화 (LTP) 분석. 야생형 마우스 (검은원)에 비해 5xFAD 치매마우스(파란원)는 기억의 지표인 LTP 유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ALT001 투여에 의해 LTP 형성이 야생형 마우스의 수준으로 회복됨.
(C) Tg2576 치매마우스에서 장기강화 (LTP) 분석. 대조군 Tg2576 마우스 (흰원)에 비해 ALT001를 투여한 Tg2576 마우스 그룹(검은원)은 LTP 형성이 현저히 회복됨.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