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한 훈련병은 뇌수막염을 앓고 있는 상태였으나 군은 타이레놀 2알만 처방한 채 야간 훈련에 투입했고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군의료체계에 대한 재점검 논란도 불거지고 있는 모양새다.
12일 육군 등에 따르면 논산 육군훈련소 30연대 소속 노모 훈련병(연세대 휴학·23)은 지난달 22일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새벽 2시10분까지 20㎞ 완전군장 행군을 마친 뒤 부대로 복귀했으나 고열 증세를 보였다.
노 훈련병은 곧 연대 의무실에서 진료를 받은 뒤 내무실로 돌아와 잠을 잤으나 오전에 상태가 악화돼 병원으로 후송됐고, 이후 민간병원인 건양대학교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다음날 오전 7시쯤 사망했다.
건양대학교 병원 측은 폐혈증에 따른 급성호흡곤란 증후근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같은 증상은 뇌수막염으로 인한 것이라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충격적인 점은 고열로 제대로 걷지 못하는 폐혈증 환자에게 내려진 처방이 고작 해열진통제인 타이레놀 2알뿐 이었다는 사실이다.
당시 해당 연대 군의관은 야간행군 복귀 후 환자 진료를 마치고 퇴근한 뒤였으며 일병 계급의 의무병이 당직 군의관에게 보고하지 않고 해열진통제만 처방한 다음 노 훈련병을 복귀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노 훈련병의 유가족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