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병원 부당청구 심각!
○ 최근 4년간 (2010년 8월말기준) 빅5 대형병원(서울대병원, 세브란스, 강남 성모, 서울 아산, 강남 삼성)이 민원인들에게 부당 청구하여 되돌려준 금액은 79억원(5,794건)임.
○ 그 중 기초생활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부당청구 환불액은 12억원(337건).
<최근 4년간 빅5 병원 부당청구 현황> (단위:건, 천원)


☞ 대형병원들이, 우리 사회 최 약소계층인 기초생활수급자들을 대상으로 부당청구를 하고 있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현실임. 심평원의 조사권 확대와 병원에 대한 선도 확대 등을 통해 개선책을 마련하기 바람.
5개 상급종합병원 주차비 수익, 최근 3년간 126억.

○ 전국 종합병원이 환자 및 방문자들을 통해 징수한 주차료가 2008년 397억, 작년 410억, 올 해 7월까지 259억으로 증가추세. 심지어 몇몇 병원들은 환자와 방문자를 구분하지도 않고 있음. 환자를 상대로 주차비 장사를 하고 있는 셈.
☞ 환자에 대해서는 주차비 특혜를 주든, 주차비 수익을 환자 복지를 위해 쓰든 방법을 강구하도록 설득, 독려 필요.
5개 대학병원 예약진찰료 미환불액 올 해만 8억 8천만원.
<5개 대학병원 예약진찰료 현황> (단위: 건, 천원) (자료:보건복지부)
병원 |
예약진료비 |
미환불 |
||
건수 |
액수 |
건수 |
액수 |
|
분당 S대학 병원 |
26,989 |
360,325 |
13,471 |
178,999 |
용산 S대학 병원 |
1,768,938 |
11,702,566 |
490,482 |
193,561 |
H대학 병원 |
200,283 |
2,803,962 |
11,704 |
163,856 |
P대학 병원 |
264,356 |
7,736,834 |
14,060 |
176,986 |
K대학 병원 |
222,172 |
3,003,631 |
12,850 |
175,018 |
☞ 특히 저희 의원실이 자료 요구를 했는데, 빅5 병원들은 아직 자료 제출도 하지 않고 있음. 제출된 대학병원들의 현황으로 미루어 빅5 병원들의 액수는 무척 클 것임. 복지부 차원에서 전수조사를 하고, 법적 근거 없는 징수가 타당한지 명확한 판단이 필요.
적어도 국민들에게 이런 사실을 적극 알릴 필요.
☞ 장관은 1차 의료기관의 붕괴와 맞물려 상급병원으로의 쏠림 현상 속에서 이처럼 다양한 상급병원 배불리기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타개할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기 바람.
[본 콘텐츠는 이낙연 의원의 국정감사 보도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