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유지인] 3세대 티로신키나제 억제제 ‘레이저티닙’이 기존 방법으로 치료에 실패한 뇌 전이 EGFR(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돌연변이 폐암 환자의 종양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이저티닙’은 유한양행이 개발한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의 주성분이다.
연세암병원 김혜련‧홍민희 교수는 서울성모병원 강진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최윤지, 가천대 길병원 안희경 교수와 함께 난치성 뇌 전이 EGFR 돌연변이 폐암 환자에게 레이저티닙을 사용하면 뇌 종양 감소를 보이는 환자 비율이 55.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비소세포폐암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EGFR 유전자 변이는 종양세포의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시켜 성장을 촉진한다. EGFR에서 신호전달을 활발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 효소는 티로신키나제다.
폐암은 진행이 빠른 공격적인 암인 만큼 4기 진단 당시 25%의 환자는 뇌 전이를 보인다. 뇌 전이를 가진 폐암 환자 치료 약물이 중요한 이유다. 하지만 약물 전달을 막는 뇌혈관장벽(Blood Brain Barrier·BBB) 때문에 1, 2세대의 티로신키나제 억제제는 뇌로 침투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중추신경계 전이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3세대 티로신키나제 억제제 레이저티닙 효과를 확인했다. 이번 임상시험에 참여한 환자는 1, 2세대 약물로 치료에 실패한 40명이다.
뇌 종양 크기 감소를 보인 환자 비율을 뜻하는 뇌 내 객관적 반응률은 55.3%였다. 특히, 1, 2세대 약물 내성으로 나타나는 T790M 변이를 가지면 효과가 뛰어났다. 변이 양성 환자가 보인 객관적 반응률은 80%(음성 환자 반응률 42.9%)에 달했다.
병의 진행 없이 생존하는 기간인 무진행 생존기간은 15.8개월을 기록했다. T790M 변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양성, 음성 환자가 보인 기간은 각각 15.2개월, 15.4개월이었다. 환자가 보인 부작용은 경미한 수준에 머물러 안전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김혜련 교수는 “이번 연구는 3세대 EGFR 억제제인 레이저티닙을 치료에 실패한 EGFR 양성 뇌 전이 환자에게 저항 돌연변이 T790M 발생 여부에 상관없이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의학협회 종양학 학술지(JAMA Oncology, IF 28.4)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