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이시우] 류마티스 환자들이 겪는 만성 이차성 골근격계 통증의 원인이 성별로 다르다는 이색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남성은 연령, 여성은 우울감이 통증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주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김현아 교수와 조지워싱턴 간호대학 김희준 교수의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만성 이차성 근골격계 통증을 동반한 류마티스 환자 220명을 대상으로 생물심리사회적 복합 모델을 통해 통증 강도 및 통증으로 인한 일상의 불편(통증간섭)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분석했다.
생물학적 요인은 나이, 성별, 통증질환, 통증기간, 통증 민감도, 동반질환 등을, 심리적 요인은 통증 파국화(통증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우울 등을 분석했다.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통증 강도는 3.01(0-10 척도), 평균 총 통증 간섭점수는 21.07(0-70 척도) 이었다.
연구 결과 이러한 생물심리사회적 요인들 중 우울 및 통증 파국화가 심할수록 통증의 강도가 높고,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남성의 경우 나이와 통증 파국화가, 여성은 우울과 통증 파국화가 높을수록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파국화는 남녀 모두에서 만성 통증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류마티스 질환에서 통증은 장애 및 사망률 증가 등과 관련이 크다”면서, “이번 연구는 만성 통증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사회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 등을 다방면으로 확인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앞으로 미국 내 다양한 인종의 맞춤형 치료를 위한 생물심리사회학적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 4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Psych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