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오페브’ 제네릭 개발 경쟁 본격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오페브’ 제네릭 개발 경쟁 본격화
대웅제약 이어 현대약품도 제네릭 개발 도전

한달 약값 최대 300만 원 ... 제네릭 개발시 환자 부담 줄어들 듯
  • 이충만
  • admin@hkn24.com
  • 승인 2023.06.19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오페브'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오페브'

[헬스코리아뉴스 / 이충만] 독일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의 ‘오페브(Ofev, 성분명: 닌테다닙·nintedanib)’를 겨냥한 국내 제약 업체들의 제네릭 개발 경쟁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대웅제약이 가장 먼저 제네릭 시장 진입을 시도한 것에 이어 현대약품도 경쟁에 가세한다.

본지 취재 결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6일 현대약품의 ‘HOGO-2211’에 대해 생물학적 동등성 임상 시험 계획(IND)을 승인했다. 올해 2월, 대웅제약의 ‘오페브’ 생동성 시험이 식약처의 승인을 받은 지 4개월 만에 두 번째 임상이 승인된 것이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포 벽에 만성염증 세포들이 침투하여 혈관 손상과 근섬유아세포가 축적되고, 폐 섬유화가 진행하여 호흡부전증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만성적 마른 기침, 호흡 곤란 등이 있다. 폐의 섬유화가 만성적으로 진행할 경우 진단 이후 약 3-5년 안에 사망할 수 있을 정도로 예후가 매우 나쁜 질병이다. 

질환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표준 치료요법은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것으로 자리매김했는데, 대표적인 치료제로는 항섬유화 계열 약물인 ▲스위스 로슈(Roche)의 ‘에스브리에트(Esbriet, 성분명: 피르페니돈·pirfenidone)’와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인 ▲베링거잉겔하임의 ‘오페브’가 있다. 

이중 피르페니돈의 아시아 지역 권리는 일본 시오노기(Shionogi)가 보유하고 있었는데, 우리나라 일동제약은 지난 2011년 시오노기와 제휴 계약을 체결하면서 국내 판권을 획득했다. 제품명은 ‘피레스파정’으로, 식약처는 2012년 7월, 특발성 폐섬유증에 대한 치료제로 국내 최초 품목허가한 바 있다. ‘파레스파정’의 물질 특허는 지난해 1월 25일 만료되면서 현재 7종의 피르페니돈 계열 약물이 출시된 상황이다.

하지만, 피르페니돈은 메스꺼움, 설사, 체중 감소 및 식욕 감퇴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고 미각 및 후각 상실 등의 증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충족 의료 수요를 공략한 약물이 베링거잉겔하임의 ‘오페브’이다.

이 약물은 FGFR, VEGFR, PDGFR, CSF1R, FLT3 등 다양한 유형의 성장 인자를 억제하여 신생 혈관 생성을 제한하는 기전을 가졌다. ‘오페브’ 또한 메스꺼움, 설사, 체중 감소 및 식욕 감퇴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지만, 그 빈도는 피르페니돈 계열 약물 보다 덜하고, 무엇보다 미각 및 후각 상실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나 ‘오페브’는 국민건강보험에서 약제비 급여 지원도 되지 않아 1개월에 200~300만원의 약값이 드는 고가 의약품이다. 따라서 국내 제약사들이 제네릭을 개발할 경우, 환자의 약값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대웅제약은 올해 2월 말 자사의 ‘대웅닌테다닙정(DWJ1531정)’에 대한 생동성 임상 시험 계획(IND)을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은 바 있다. 현대약품은 그 뒤를 이어 ‘HOGO-2211’의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번에 승인된 ‘HOGO-2211’ 임상 내용은 건강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HOGO-2211’과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오페브’ 100mg의 무작위배정, 식후, 단회, 경구투여 등의 생물학적 동등성을 평가한다. 시험은 부민병원에서 실시한다.

다만,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오페브’의 연질캡슐 관련 2건의 특허를 등재했으며, 오는 2025년 1월 25일까지 해당 권한을 보호받는다. 따라서 대웅제약과 현대약품은 2025년 이후 제네릭을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날 식약처는 임상시험 25건 및 1개 의약품의 시판을 허가했다. 아래는 이날 승인된 임상시험 및 의약품 품목허가 목록이다.

▼임상시험 허가 목록

업체

제품명

임상시험 제목

임상시험 단계

실시기관

피피디디벨럽먼트피티이엘티디

TAK-186 (MVC-101)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암 환자에서 EGFR x CD3 조건부 이중특이 재유도 활성화(COBRA) 단백질인 TAK-186(MVC-101로도 알려짐)에 대한 제1/2상, 최초 인체 적용, 공개, 용량 증량 임상시험

1/2상

삼성서울병원서울대학교병원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

Amlitelimab(SAR445229)

이전 암리텔리맙 천식 임상시험의 투여 기간을 완료한 중등도 내지 중증 천식이 있는 성인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피하 암리텔리맙의 장기 안전성, 내약성,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기 연장 임상시험

연장

 

국립암센터

루미노마크주사

루미노마크 주사를 이용한 광의학 기반 국소화 표시 기법의 갑상선암 수술에서의 유용성 시험

연구자 임상시험

국립암센터

바이넥스

디멘세린정30밀리그램(니세르골린)

㈜바이넥스의 “디멘세린정30밀리그램(니세르골린)(가칭)”(니세르골린 30 mg)과 일동제약㈜의 “사미온정30밀리그램(니세르골린)”(니세르골린 30 mg)의 생물학적 동등성평가를 위한 건강한 성인 시험대상자에서의 공개, 무작위배정, 2군, 2기, 공복, 단회, 경구 투여, 교차 시험

생동

부민병원

지엘팜텍

GLM1RA

건강한 성인 자원자를 대상으로 “아스피린프로텍트정 100밀리그람”과 “파리에트정5밀리그램(라베프라졸나트륨)”간의 약물상호작용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1상 임상시험

1상

충북대학교병원

아스트로젠

AST-001 시럽

어린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AST-001의 공개 연장 투여기를 포함하는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목적의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제3상 임상시험

3상

충남대학교병원 등 12개 기관

영진약품

YPI-010

건강한 성인 자원자를 대상으로 영진약품㈜ “YPI-010”의 안전성과 약동학적 특성을 탐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제1상 임상시험

1상

의료법인서울효천의료재단,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바이엘코리아

BAY 1747846

신체 부위(CNS 제외)에 알려졌거나 의심되는 병리가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MRI용 0.04 mmol Gd/kg(체중)의 가도콰트란(gadoquatrane)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승인된 0.1 mmol Gd/kg의 거대고리 가돌리늄 기반 조영제(GBCA)와 비교하여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전향적 이중눈가림, 교차 제3상 임상시험

3상

아주대학교병원 등 4개 기관

에이치엘비제약

에이치엘비토파시티닙정5밀리그램(토파시티닙시트르산염)

에이치엘비제약㈜ “에이치엘비토파시티닙정5밀리그램(토파시티닙시트르산염)”과 한국화이자제약㈜ “젤잔즈정5밀리그램(토파시티닙시트르산염)”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를 위한 건강한 성인에서의 공개, 무작위배정, 공복, 단회 경구 투여, 2군, 2기, 교차 시험

생동

의료법인서울효천의료재단,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애드파마

AD-224A

건강한 성인 자원자를 대상으로 AD-224A와 AD-224C의 안전성과 약동학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1상

의료법인서울효천의료재단,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애드파마

AD-114

건강한 성인 자원자를 대상으로 공복상태에서 AD-1141 및 AD-1142의 병용투여와 AD-114의 단독투여시 안전성과 약동학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공개, 무작위배정, 단회투여, 2군, 2기, 교차 임상시험

1상

의료법인서울효천의료재단,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한국파렉셀

TST001

클라우딘18.2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위 또는 위식도 접합부(위/GEJ) 선암종 시험대상자에서 1차 치료로 TST001, 니볼루맙, 항암화학요법의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제3상,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임상시험

3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등 3개 기관

에이피트바이오

APB-A001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APB-A001 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공개, 제1a상 임상시험

1상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렉라자정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1차 레이저티닙 (Lazertinib) 단독 투여 후 순환 종양 DNA (ctDNA) 양성인 환자들 대상으로 레이저티닙 단독 또는 세포독성항암제 병용요법을 평가하기 위한 단일기관, 세 치료군, 제2상 임상시험

연구자 임상시험

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경보제약

KBP-501

KBP-501과 DKBP-501-1의 생물학적 동등성평가를 위한 건강한 성인 시험대상자에서의 공개, 무작위배정, 2군, 2기, 공복, 단회, 경구, 교차시험

생동

부민병원

한국아이큐비아

GEN1046 주입용 농축액 20 mg/mL

진행성 자궁내막암이 있는 시험대상자에서 항암제와 병용하는 GEN1046의 안전성 및 예비 임상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제2상, 탐색적, 다기관, 공개 임상시험

2상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등 8개 기관

한국얀센

JNJ-78278343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에서 인간 칼리크레인 2 (KLK2)를 표적으로 하는 T 세포 방향전환제인 JNJ-78278343과 JNJ-63723283 (세트렐리맙) 병용 요법의 제1b상 임상시험

1b상

서울대학교병원 등 3개 기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온베브지주

PARP 저해제 유지치료 중 재발한 난소암 환자에서 이차종양감축술에 대한 무작위배정 2상 임상시험

연구자 임상시험

길 병원 등 15개 기관

현대약품

HOGO-2211

현대약품(주)“HOGO-2211”과 한국베링거인겔하임(주)“HOGO-2211-1(오페브연질캡슐100밀리그램(닌테다닙에실산염))”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를 위한 건강한 성인 남성 시험대상자에서의 공개, 무작위배정, 식후, 단회, 경구투여, 2군 2기, 교차시험

생동

부민병원

한국아스트라제네카

AZD5863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Claudin 18.2 (CLDN18.2)와 CD3을 표적화하는 이중특이적인 T세포 작용 항체 AZD5863의 안전성, 약물동태학, 약물동력학,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I/II상, 공개라벨, 용량증량 및 투여확장 임상시험

1/2상

삼성서울병원 등 4개 기관

동광제약

DKP21103

건강한 성인 자원자를 대상으로 DKP21103A 및 DKP21103B의 병용투여와 DKP21103의 단독투여시 안전성과 약동학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공개, 무작위배정, 단회투여, 2군, 4기, 교차 임상시험

1상

의료법인서울효천의료재단,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아이콘클리니컬리서치코리아

피안리맙(REGN3767)/세미플리맙(REGN2810)

PD-L1 ≥50% 발현 종양이 있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NSCLC) 시험대상자의 1차 치료에서 세미플리맙(항-PD-1 항체)과 병용한 피안리맙(항-LAG-3 항체) 대 세미플리맙 단일요법에 대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제2/3상 임상시험

2/3상

전북대학교병원 등 8개 기관

재단법인아산사회복지재단서울아산병원

램시마펜주 120mg

중등도-중증 크론병에서 피하 인플릭시맙 단일요법과 피하 인플릭시맙과 면역조절제 병용요법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한 전향적 다기관 무작위배정 공개 임상시험

연구자 임상시험

경북대학교병원 등 7개 기관

아이엔씨리서치사우쓰코리아

ESK-001

전신홍반루푸스가 있는 성인 환자들에서 ESK-001의 여러 용량 수준의 안전성, 유효성, 약동학을 평가하기 위한 제2상, 다기관, 다국가,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임상시험

2상

건국대학교병원 등 6개 기관

아이엔테라퓨틱스

[18F]iN1011-N17

건강한 성인에서 마이크로도즈용량의 [18F]iN1011-N17 정맥투여 후 PET을 이용해 전신생체분포, 삼차신경절 및 후근신경절에서 약물분포 양상 확인을 위한 제 0 상 임상시험

0상

서울대학교병원

▼의약품 허가 목록

제품명

업체명

적응증

허가심사유형

포시글리듀오서방정10/500밀리그램

신일제약

다파글리플로진과 메트포르민의 병용투여가 적합한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의 보조제로서 투여

전문의약품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순호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3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