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이순호] 휴온스랩은 비임상 동물 효력시험에서 자사가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 ‘HLB3-013’(성분명 : 데노수맙)와 오리지널 의약품인 ‘프롤리아’의 동등한 효력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동물시험은 그리스 CRO 기관인 바이오메드코어가 골다공증 유발 모델 마우스로 진행했다. 연구진은 ‘프롤리아’와 ‘HLB3-013’을 각각 동량 처리한 뒤 골 분석을 한 결과 다양한 인자들(대퇴골 중 소주골의 평균 부피, 밀도, 분리 및 겉질뼈 두께 등)에서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등한 골다공증 증상 억제 효력을 확인했다.
‘프롤리아’는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에 필수 단백질인 RANKL과 결합해 파골세포의 형성과 기능 및 생존을 억제, 골 파괴를 방지하는 약물이다.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 증가를 위한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오는 2025년 특허가 만료된다.
2022년 전 세계에서 약 4조 5500억 원(약 36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국내에서는 약 1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제약 전문 리서치 업체 코텔리스(Cortellis)에 따르면 글로벌 ‘프롤리아’ 시장은 연평균 5.6%씩 성장해 오는 2024년 약 7.8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한편, 휴온스랩은 휴온스글로벌이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선도적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연구 개발(R&D)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지난 2018년 신규 설립한 자회사다.
지난 2021년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위해 펜젠과 세포주 및 생산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 팬젠이 개발 중인 ‘프롤리아’의 바이오시밀러 생산을 위한 세포주와 배양 및 정제 공정 기술을 이전 받아 본격 개발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