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6일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하방 압력을 받으면서 제약주들도 일부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부진한 하루였다.
코스피 의약품 지수와 코스닥 제약지수 종목을 통틀어 6% 이상 상승한 곳은 일성신약과 씨티씨바이오 두 곳 뿐이었다.
코스피 종목인 일성신약은 이날 전 거래일(8만 8600원) 대비 7.56%(6700원) 오른 9만 53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최근 4거래일 연속 상승세다.
일성신약은 이날 오전 최대주주등소유주식변동신고서를 통해 윤석근 회장이 19만주를 장외매수해 보유주식이 22만 4610주에서 41만 4610주로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지분율은 이전 8.44%에서 15.59%로 올랐다. 윤 회장은 일성신약 창업주 윤병강 회장의 4남 2녀 중 차남이다. 미국 뉴욕대를 졸업한 후 지난 2001년부터 일성신약 대표이사를 맡았고 작년 5월 회장으로 취임했다.
일성신약은 지난 3일 지난해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13억 2449만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한 바 있다. 3년만에 흑자로 돌아선 것이다. 2019~2021년까지는 합계 50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순이익은 삼성물산 주식 투자 관련 이익이 반영돼 1050억 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21억 원에서 612억 4785만 원으로 45.5% 증가했다.
코스닥 종목에서는 씨티씨바이오가 전 거래일(7430원) 대비 6.86%(510원) 상승한 794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씨티씨바이오가 개발 중인 조루·발기부전 치료 복합제(CDFR0812-15/50mg)는 지난해 10월 임상 3상 시험에서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 작년 12월 식약처 품목허가를 목표로 했지만 준비가 필요해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씨티씨바이오 관계자는 이날 헬스코리아뉴스와의 통화에서 “다른 약들처럼 임상 후 바로 품목허가를 신청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작년 12월 진행하려고 했지만, 임상 3상 이후 품목허가는 처음 진행하고 있어 준비에 좀 더 시간이 걸리고 있다”며 “식약처 허가 신청 전 현재 공장과 생산 관련된 전반적인 실사를 외부업체를 통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실사에서 문제가 생기면 시간이 더 늦어지기 때문에 실사 준비를 잘해서 빠르게 허가를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실사에 아무 문제가 없으면 3월 내에도 신청이 가능하지만 보완할 부분이 있다면 (품목허가를) 3월 이후에 신청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반면, 코스닥 종목인 오스코텍은 전체 제약업종 가운데 가장 높은 하락률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 회사는 6일, 전 거래일(2만 850원) 대비 4.56%(950원) 하락한 1만 99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오스코텍은 지난달 27일 소액 주주들이 제기한 주주명부열람 가처분 소송에서 수원지방법원으로부터 일부 패소한 바 있다. 이소영, 박사철, 송종국 등 소액주주 연대가 제기한 장부 등 열람 허용 가처분 신청에서 법원은 주주명부의 열람과 등사를 허용하라고 결정했다. 사진촬영과 엑셀 파일 등 컴퓨터 파일 복사도 포함된다.
이날 코스피 의약품 지수는 1만 3717.10으로 전 거래일(1만 3822.84) 대비 105.74p(-0.76%) 하락했다. 의약품 지수 구성 종목 54개 가운데, 오른 종목은 일성신약(+7.56%), 진원생명과학(+3.87%), 제일약품(+2.65%) 등 19개, 내린 종목은 SK바이오사이언스(-2.15%), 신풍제약(-2.06%), 셀트리온(-1.66%) 등 33개다.
코스닥 제약지수도 전 거래일(7705.15) 대비 97.85p(-1.27%) 하락한 7607.30로 종료됐다. 전체 115개 구성 종목 가운데 씨티씨바이오(+6.86%), 에스씨엠생명과학(+3.51%), 코오롱생명과학(+2.82%) 등 34개가 올랐고, 오스코텍(-4.56%), 바이오니아(-4.06%), HLB(-3.75%) 등 79개는 하락했다.
한편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2.21p(-1.70%) 내린 2438.19, 코스닥 지수는 5.46p(-0.71%) 하락한 761.33을 기록했다.
<6일 종가 기준 코스피 의약품지수 내 상위 10개 종목>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백만) |
시가총액(억) |
외국인 |
일성신약 |
95,300 |
▲6,700 |
+7.56% |
15,352 |
1,427 |
2,535 |
1.46% |
진원생명과학 |
8,850 |
▲330 |
+3.87% |
993,616 |
8,766 |
6,881 |
14.79% |
제일약품 |
21,300 |
▲550 |
+2.65% |
62,744 |
1,341 |
3,132 |
2.74% |
국제약품 |
5,170 |
▲60 |
+1.17% |
154,400 |
792 |
1,044 |
1.33% |
JW중외제약 |
21,200 |
▲200 |
+0.95% |
51,539 |
1,083 |
4,702 |
7.15% |
한미약품 |
266,500 |
▲2,500 |
+0.95% |
27,886 |
7,471 |
33,478 |
16.37% |
광동제약 |
6,090 |
▲40 |
+0.66% |
123,632 |
752 |
3,192 |
19.00% |
파미셀 |
10,670 |
▲70 |
+0.66% |
253,545 |
2,695 |
6,404 |
10.13% |
JW생명과학 |
12,420 |
▲80 |
+0.65% |
13,938 |
171 |
1,967 |
2.07% |
종근당 |
82,900 |
▲500 |
+0.61% |
22,744 |
1,892 |
10,419 |
7.57% |
<6일 종가 기준 코스닥 제약지수 내 상위 10개 종목>
종목명 |
현재가 |
전일비 |
등락률 |
거래량 |
거래대금(백만) |
시가총액(억) |
외국인 |
씨티씨바이오 |
7,940 |
▲510 |
+6.86% |
319,765 |
2,467 |
1,920 |
1.97% |
에스씨엠생명과학 |
10,630 |
▲360 |
+3.51% |
269,693 |
2,863 |
1,290 |
3.81% |
코오롱생명과학 |
34,600 |
▲950 |
+2.82% |
37,903 |
1,304 |
3,949 |
1.41% |
메타바이오메드 |
2,530 |
▲50 |
+2.02% |
232,271 |
582 |
604 |
3.13% |
콜마비앤에이치 |
29,700 |
▲550 |
+1.89% |
111,249 |
3,259 |
8,774 |
2.53% |
엔지켐생명과학 |
1,740 |
▲26 |
+1.52% |
574,952 |
1,004 |
1,467 |
9.06% |
세운메디칼 |
3,110 |
▲45 |
+1.47% |
120,913 |
371 |
1,362 |
1.30% |
휴메딕스 |
28,200 |
▲400 |
+1.44% |
64,175 |
1,793 |
2,833 |
4.69% |
셀루메드 |
5,450 |
▲70 |
+1.30% |
724,685 |
3,926 |
2,278 |
1.27% |
티앤엘 |
39,250 |
▲400 |
+1.03% |
44,532 |
1,751 |
3,190 |
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