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여성들은 남성들과 달리, Y존을 청결하기 유지하기 위해 일명 ‘여성청결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히 질 세정제, 또는 외음부 세정제라고도 불리는데, 마땅히 정해진 명칭이 없다보니, 부르는 이름도 제각각이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여성청결제는 종류를 헤아릴 수 없을만큼 다양한 제품이 난립하고 있는데, 사용후 심각한 부작용을 소호하는 여성들도 적지 않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일 안전사용정보를 제공했다. 안전정보는 여성의 질 내·외부 치료, 또는 질 내부 세정(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외음부의 세정(화장품)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구별 방법 ▲사용 시 주의사항 등을 담고 있다.
식약처 의약품정책과 관계자는 “시중에서 일부 의약품이나 의료기기로 허가받지 않은 제품이 질 세정제와 유사한 용기나 포장 형태로 유통·사용되고 있어 소비자가 제품의 목적에 맞게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안정정보를 제공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문제가 되고 있는 제품은 여성의 질 내부에 삽입해 사용하기 유용한 병 또는 자루 등의 용기 모양 등을 말한다.
여성청결제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구별법
식약처에 따르면 여성청결제의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은 사용 부위와 사용 목적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우선 의약품은 질염 등 질병의 치료·경감·처치 등을 위해 의약적 효능이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질 내·외부에 사용할 수 있다.
의료기기는 질 내부의 세정 목적으로 물(정제수)과 같이 의약적 효능이 없는 액상 성분이 질 세정기와 함께 구성돼 질 내부에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질 세정기 단독으로도 의료기기이다. 질세정기는 튜브와 노즐이 있는 병 또는 자루 형태의 질 세정기구를 말한다.
화장품은 외음부의 세정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제품으로 질 내부에는 사용할 수 없다.
구분 |
의약품 |
의료기기(질 세정기) |
화장품(외음부 세정제) |
사용 부위 |
질 내부, 외음부 |
질 내부 |
외음부 |
사용목적(성능, 효능・효과 등) |
질염 등 질병의 치료·경감·처치 등 |
질 세정 |
외음부의 세정 |
식약처 심사 여부 |
품질, 안전성·유효성 등 심사하여 허가 |
식약처 심사대상 아님 |
사용 시 주의사항
각종 여성청결제도 사용시 주의가 요구된다. 약품 또는 의료기기가 아닌 경우 식약처가 품질과 안전성, 효과성(성능) 등을 확인하지 않은 제품이므로 질 내부에 사용하면 안된다는 게 식약처의 설명이다.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로 허가받지 않은 제품은 질염 치료, 질 세정 등의 효과(성능)가 검증되지 않았으며, 질 내부에 사용하면 오히려 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인해 질 내부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식약처는 소비자 안전을 위해 2022년 12월19일부터 화장품인 외음부 세정제의 주의사항에 ‘외음부에만 사용하며, 질 내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질염 치료 또는 질 세정 등으로 허가된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현황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니, 사용 목적에 따라 확인 후 선택해 사용하거나 전문가와 상의 후 선택하기를 바란다”며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되, 거짓·과대 광고·판매 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