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는 건강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선생님들의 의견을 가공하지 않고 직접 게재하고 있습니다. 본 칼럼이 독자들의 치료 및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헬스코리아뉴스 / 안형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으로 대표되는 3대 만성질환은 우리 몸에 있어 가장 중요한 혈관을 위협하는 주범이다. 급성심근경색 및 뇌졸중으로 대표되는 심장·뇌 질환, 그리고 대동맥 질환과 말초혈관 질환은 만성질환으로 인해 탁해진 혈액 속 혈전들이 심장혈관 및 뇌혈관, 그리고 대동맥 및 말초혈관을 막아 발생되는 것으로 우리의 생명을 노린다. 결국, 막힌 혈관이 문제다.
심장 및 뇌의 혈관은 길이가 짧아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만, 복부대동맥부터 말초혈관에 이르는 팔다리 혈관은 매우 길어 협착이 있다 해도 증상을 바로 알 수 없다. 이들 혈관이 막혀 다리가 붓고 저리며 보행이 어려울 정도의 극심한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혈관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복부의 대동맥에서부터 허벅지와 무릎 이하 발목, 발등, 발가락에 퍼져있는 말초혈관 질환은 고령화 및 각종 만성질환으로 인한 동맥경화로 상당히 오랜 기간 협착, 폐색 등을 일으킨다. 특히 동맥이 늘어나는 동맥류, 동맥이 막히는 동맥 폐색 등은 대동맥 파열과 다리 괴사 이전까지 큰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결국 심각한 상황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대동맥 질환인 대동맥류는 지속적으로 혈관이 늘어져 파열될 때까지 큰 통증이나 증상이 없다. 혈관이 막혀 괴사를 일으키는 대동맥 폐색도 마찬가지다. 환자들 대부분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질환을 동반하고 있어 이들 질환을 치료하는 가운데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팔다리 혈관인 말초혈관 질환도 긴 혈관으로 인해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동맥경화로 인한 혈전들이 말초혈관 안에 쌓이면서 걷지도 못할 정도의 저림, 보행장애 등을 초래한다.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야 비로소 환자들은 병원을 찾는다.
혈관질환의 진단에 있어 가장 기본은 초음파 검사다. 혈관 초음파를 통해 막힌 병변을 확인하고 혈관 구조를 영상 및 해부학적으로 파악한다. 추가로 CT, MRI 검사를 시행해 정확한 병변을 재확인한다. 환자의 혈관 기능 소실 여부를 수치로 정확히 제시하는 혈관기능검사도 중요한데, 환자의 혈관 상태 및 기능을 정확히 계량해 수술 외 약물치료, 스텐트, 풍선확장술 등 여타 치료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환자의 혈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불필요한 치료를 줄이는 최소한의 치료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돕는 검사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혈관질환은 대부분 응급환자다.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동맥 파열로 집에서 사망하거나 응급실에 오더라도 수술 도중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흡연자이고 비만이거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각종 만성질환을 동반한 50~60대 이상 고령층은 정기적으로 초음파를 통한 혈관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혈관질환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되돌아올 수 없는 큰 후유증을 남기고 최종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조기 진단으로 최대한 치료 시기를 앞당겨 혈관병 때문에 갑자기 생명을 잃는 경우는 없어야 한다.
혈관질환의 치료는 영상의학과, 신경외과, 내과 등 타 진료과목과의 협업은 기본이다. 여기에 모든 시술 및 수술 방법에 특화된 의료진의 다년간 노하우가 맞물려 환자들에게 가장 잘 맞는 최적의 치료 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는 매우 낮은 절단율과 높은 수술 성공률로 이어진다.
복부대동맥이나 말초혈관 질환 초기는 약물 치료나 혈관스텐트 치료가 가능하나, 진행된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자가 혈관이나 인조혈관 등을 이용하여 동맥 우회로술을 하게 된다. 특히 작은 혈관수술은 초음파로 수술할 혈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사용 여부를 결정하되, 가급적 자가 혈관을 사용해야 수술 성적이 좋다.
혈관질환은 병변을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동맥이 딱딱하게 굳어 수술이 어렵고 약물치료도 할 수 없다. 병원 방문을 겁내지 말고 현재 상태를 정확히 진단받고 관리, 치료한다면 질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며 절단 등 최악의 상태도 막을 수 있다. [글 :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 안형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