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독이 되는 운동 ... 전방십자인대파열 조심해야
때로는 독이 되는 운동 ... 전방십자인대파열 조심해야
  • 조승배
  • admin@hkn24.com
  • 승인 2021.04.20 0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코리아뉴스는 건강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선생님들의 의견을 가공하지 않고 직접 게재하고 있습니다. 본 칼럼이 독자들의 치료 및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조승배 무릎관절 전문의 / 연세건우병원 원장

[헬스코리아뉴스 / 조승배] 격한 운동으로 온몸에 땀이 흐르고 숨을 헐떡거리는 그 순간에 묘한 짜릿함이 등골을 타고 올라온다. 운동할 때 분비되는 아드레날린 때문이다. 그래서 운동을 즐기는 사람은 종종 자기 몸을 극한까지 끌고 간다. 건강한 짜릿함을 맛보기 위해서다.

물론 운동은 좋다. 격한 운동을 한다고 해서 곧바로 문제가 있는 건 아니다. '자기가 감당할 수준을 넘어서는 운동'을 할 경우 문제가 따른다. 강도 높은 운동으로 몸이 지탱할 범위를 넘어서면 부상이 찾아온다. 뛰다가 중심을 제대로 잡지 못해 발목 인대가 늘어날 수도 있다. 뛰다가 넘어져 타박상을 입을 수도 있다. 더 심하게는 운동 중 자기의 체중과 속도를 이기지 못해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될 수도 있다. 전방 십자인대 파열은 치료에 상당한 시일을 요하는 부상이다. 운동선수들도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시즌 아웃'될 정도로 치명적인 부상이다.

지난 2019년 전방 십자인대 파열(ACL : anterior cruciate ligament)로 병원을 찾은 사람은 4만1000여명이다. 4년 전에 비해 약 6.3%가 증가했다. 십자인대 파열은 보통 운동선수들이 입는 부상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보통 사람들도 십자인대 파열로 병원을 찾는 게 흔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9년에 전방십자인대로 병원을 찾은 사람 중 20대가 31.5%로 가장 많았다. 격한 운동을 즐기는 나이대다. 그 다음을 잇는 게 30대(20.6%), 40대(16.5%)다. 당연히 성별로 따지면 남자가 더 많다. 전방십자인대로 병원을 찾는 남녀의 비율은 75:25로 남성이 압도적이다.
 

십자인대 위치
십자인대 위치

전방 십자인대 파열은 무릎에 과도한 충격이나 회전력이 가해져 십자인대가 탄력의 한계를 넘어 파열되는 부상을 의미한다. 보통은 격한 운동을 할 때, 가령 빠른 속도로 달리다가 갑자기 속도를 늦춰 멈출 때, 급작스럽게 방향을 바꿀 때, 점프 후 착지를 잘못 해 무릎 관절이 뒤틀릴 때 오는 충격으로 파열된다. 특히 운동을 꾸준히 하지 않았던 사람이 갑자기 격한 운동을 해서 다리가 풀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질 때도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될 수 있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퍽’ 또는 ‘뚝’ 하는 파열음이 들린다. 그와 동시에 무릎 관절 안에 피가 고이기 시작하며 환부가 붓고 통증이 생긴다. 부상 직후에는 무릎을 잘 구부릴 수가 없고 발을 딛기가 힘들다. 하지만 오래 가지 않는다. 며칠만 참으면 가벼운 통증만 남는다. 전문가들은 바로 이점을 조심해야 한다고 말한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나타나는 증상.

십자인대 파열을 방치하다보면 부기가 가라앉고 통증이 줄어들면서 단순 타박상으로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십자인대 파열은 방치하면 절대 안된다. 무릎 관절이 자주 어긋나는 느낌이 나면서 일상생활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 또 통증도 계속 남아있기 때문이다.

십자인대 파열로 병원을 찾게 되면 인대 파열 상태를 확인한 후 환자 활동 정도를 고려해 치료방법을 결정한다. 무릎 불안정성이 없거나 파열 정도가 낮으면 비수술적 치료를 하지만, 파열 정도가 심하고 반월상 연골 파열 등 다른 구조의 손상이 있는 경우 해부학적 터널재건이 가능한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운동을 하는 것은 분명 좋은 일이다. 제일 중요한 것은 아팠을 때 방치하지 말라는 것이다. 운동은 약이지만, 동시에 독이 될 수도 있다. [글 : 조승배 무릎관절 전문의 / 연세건우병원 원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