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박민주]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우울감을 호소하는 국민들이 많아짐에 따라, 정부가 국민들의 심리 안정 지원에 나선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정세균)는 5일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 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코로나 우울 대응 심리지원 강화계획을 논의했다.
정부는 올해를 백신과 치료제에 대한 기대감과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여러 문제가 공존하는 대전환기로 간주하고, 방역뿐 아니라 심리지원도 매우 중요한 시기로 판단해 코로나 우울 심리지원을 강화·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 국민 대상 코로나 우울 예방 강화
정부는 우선 통합심리지원단과 심리상담 핫라인(1577-0199)을 통해 전국민 대상 심리지원을 확대하고, ‘국가정신건강포털’을 운영해 믿을 수 있는 정신건강 정보를 제공한다.
확진자, 격리자, 대응인력 등 심리상태가 쉽게 악화될 수 있는 고위험군을 선제적으로 지원하고, 심리적 후유증 최소화를 위해 확진자·유가족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한다.
▲대상별‧단계별 맞춤형 심리지원 강화
전국민을 대상으로 정신건강복지센터, 심리상담 핫라인(1577-0199)을 통해 마음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심리상담을 지원한다.
심리상담 결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고위험군은 전문가 심층상담 등 필요한 심리지원을 제공하고 긴급지원·치료비 지원 등 복지서비스와도 연계한다.
또한 안심버스를 확대하여(20년 1대→21년 13대) 취약계층, 대응인력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심리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방역지침 준수 하에 안전한 치유‧휴식으로 마음건강 회복 지원
코로나19 대응인력에 문화예술, 숲 치유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국가트라우마센터는 전문적인 소진관리 프로그램 운영과 심리안정물품을 통해 대응인력을 지원한다.
설 연휴기간 동안 ‘집콕문화생활’ 웹사이트를 통해 국민들에게 비대면 문화 콘텐츠를 안내‧제공한다.
▲관계부처와 시도 간 협업 체계 강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으로 보다 촘촘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권역별 트라우마센터 확충(2020년 2개→2021년 5개), 17개 시도 재난심리회복지원단 운영을 통해 지역 기반 체계적 심리지원을 강화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국민들의 마음건강 회복을 위해 관계부처와 시도가 함께 심리지원 사업을 지속 발굴하고 지원할 것"을 당부하며 "확진자와 가족, 대응인력뿐 아니라 국민 모두가 필요한 때 심리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