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절제술, 이제는 복강경이 대세  
간 절제술, 이제는 복강경이 대세  
삼성서울병원 올해 간이식 공여자 100% 복강경 대체

수술시간 불과 3시간 ··· 회복빠르고 흉터도 거의 없어
  • 박민주
  • admin@hkn24.com
  • 승인 2020.12.21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서울병원(이식외과 조재원, 김종만, 최규성, 유진수 교수팀)이 최근 간세포암 환자의 복강경 간 절제술 2500건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김종만 교수(사진 맨 오른쪽)가 복강경 간 절제술을 집도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 조재원(사진 맨 오른쪽) 교수팀이 간세포암 환자의 복강경 간 절제술을 시행하고 있다. 

[헬스코리아뉴스 / 박민주] 일반적으로 간 절제술을 받게 되면 배에 흉터가 남는다고 알려져 있다. 간의 해부학적 위치상 명치부터 배꼽까지 15cm 이상 배를 가르거나, 우측 상복부를 'ㄱ'자를 뒤집 어 놓은 모양으로 30cm 가량 절개했던 탓이다. 그런데 최근 수술 기법이 발전하면서 이런 염려가 사라졌다. 복강경 간절제술이 대세로 자리잡은 덕분이다.

복강경 간절제술은 배꼽 주변에 5mm에서 12mm 크기의 구멍을 4~5개 뚫은 후 수술 도구를 복강 내에 집어 넣어 간을 떼어내는 방식을 말한다. 배 안에서 잘라낸 간은 배꼽 아래 4~5cm 크기의 절개창으로 꺼낸다. 수술후 흉터는 거의 남지 않는다. 

삼성서울병원은 이런 복강경 간절제술을 국내 도입 초창기인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했다. 도입 초기 간세포암 환자의 복강경 수술 비율은 26% 였으나, 매년 적용 환자를 늘려 2019년엔 전체 환자 10명 중 7명(68.3%)이 복강경 수술을 택할 만큼 보편화됐다. 

복강경 간 절제술은 간이식 생체 간 공여자 수술에도 도입되어 공여자의 수술 후 통증 완화, 빠른 회복 등 공여자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15년 전체 간 공여자 가운데 25%를 복강경으로 수술했지만 지난해에는 전체 간 공여자의 93.2%가 복강경으로 수술을 받았고, 올해는 11월 현재 모든 간 공여자가 복강경으로 간 절제술을 받고 있다.

이처럼 적용 환자가 급격히 늘어난 데는 복강경 간절제술의 효과와 안전성이 꾸준히 입증된데다, 술기 경험이 쌓이면서 수술시간이 단축돼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술비 또한 개복 수술과 비교했을 때 30~50만원 정도밖에 차이가 없어 환자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복강경 간절제술은 기존 개복수술에 비해 수술 과정이 복잡하고 섬세해 초기엔 수술 시간만 5~6시간 이상 걸렸지만, 지금은 3시간이면 충분하다. 개복 수술보다 빠른 경우도 있다. 

특히 개복수술을 견디기 어려운 고령 환자들이 복강경 간 절제술을 받을 경우,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 및 통증 감소로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르다는 것도 장점이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2017년의 경우 90세 간암 환자가 복강경 간 절제술 후 일주일만에 퇴원하기도 했다”고 그동안의 사례를 설명했다. 

복강경 간 절제술의 이점은 임상연구에서도 확인된다. 

삼성서울병원에서 간절제술을 받은 65세 이상 간암 환자 256명을 대상으로 복강경 수술과 개복 수술을 비교한 연구 결과, 두 군에서 생존율 차이가 없었고 수술 중 출혈,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 등 여러 수술 지표들도 엇비슷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평균 재원 기간은 복강경 수술 환자가 7일로 개복 수술 환자 보다 이틀 가량 줄어 회복 속도는 상대적으로 더 빨랐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8월 국제 암학술지 캔서(Cancers)지에 발표되었다. (제1저자: 김종만, 교신저자: 조재원) 

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 김종만 교수는 “복강경 간 절제술이 손에 익기까지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환자들의 편익을 고려하면 어려워도 가야만 하는 길”이라며 “복강경 간 절제술을 비롯해 환자들의 불편은 덜고 치료 효과는 높일 방법을 찾아 연구와 개발에 더욱 매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서울병원(이식외과 조재원, 김종만, 최규성, 유진수 교수팀)은 최근 간세포암 환자의 복강경 간절제술 시행 건수 2500건을 달성했다. 양성을 포함한 간 종양 전체를 놓고 보면 약 4000건에 달해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손꼽힐 만한 대기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