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박원진] 퓨젠바이오는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및 성균관대 의과대학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 및 크론병 치료용 후보물질 ‘FBCA201’을 공동 개발했다.
14일 퓨젠바이오에 따르면 염증성 장질환은 크게 궤양성 대장염과 소화관 전체에 발생하는 크론병으로 구분된다. 퓨젠바이오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자가 면역성 질환인 크론병 치료에 무게를 두고 세포와 동물 실험을 통한 약리작용의 매커니즘을 규명했다.
퓨젠바이오는 미생물의 2차대사산물 연구과정에서 발견한 대사물질과 새로운 유도체 합성법을 개발, 대량 합성 공정 개발과 함께 10여 종의 신규 유도체를 합성해 전구약물(체내 대사과정을 거치면 효과가 나타나는 약물)의 구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신약후보물질 ‘FBCA201’이 대식세포에서 LPS처리에 의한 NO생성의 억제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나친 염증반응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고 동물의 장조직에서 대장상피세포에서의 TNFα 처리에 의한 접착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세포와의 결합을 조절하는 항염 효능을 입증했다.
특히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 실험에서 장길이 감소, 장점막 손상, 배변이상 등의 실제 증상의 치료효과를 현재 크론병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설파살라진 및 5-ASA과 대조해 실험한 결과 기존 치료제 투여량의 20% 용량을 투여하였음에도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퓨젠바이오 김윤수 대표는 “생물이 만들어내는 이차대사산물에서 유래된 항염증, 면역조절 기전의 크론병 1차 치료제를 개발함으로써 치료 기간과 부작용을 줄여 고비용의 생물학적 주사제로도 치료가 어려운 만성 질환인 크론병의 유용한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만성 염증성 장질환인 크론병 치료 신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진 가운데, 국내 기업으로는 종근당이 합성신약후보물질 ‘CKD-506’, 강스템바이오텍이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제 ‘퓨어스템CD’, 셀리버리가 항염증 신약후보물질 'iCP-NI' 를 크론병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