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헬스코리아뉴스 / 이승환 전문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척추가 정상구조에서 벗어나 측면으로 휘게 되는 척추측만증 환자 중 10대 청소년 환자가 전체 환자의 45.6%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측만증이란 정면에서 봤을 때 곧게 뻗어있어야 할 척추가 C자 혹은 S자 형태로 변형이 일어난 것을 말한다. 외관상으로 보이는 등과 허리, 어깨, 갈비뼈의 비대칭이 특징이며 몸 내부적으로는 휘어진 척추로 인한 장기 눌림, 추체 자체의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휘어진 척추는 휘어진 방향으로 취하는 나쁜 자세를 편안하게 느끼게 되는데, 그로 인해 올바른 자세를 불편하게 인식하고 오히려 나쁜 자세를 편안하게 인식한다.
이 증상을 계속 방치하게 되면 휘어진 척추가 성장판을 눌러 키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에 청소년의 척추측만증의 조기 발견은 매우 중요하다.
척추측만증의 경우 치료사의 손이나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이뤄지는 도수치료가 효과적인데 틀어진 관절과 척추를 본래의 자리로 위치시켜 효과적인 체형교정이 가능하다. 비수술치료이기 때문에 약물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며, 마취가 필요 없어 청소년기 학생들이나 고령의 만성질환 환자들도 부담 없이 받을 수 있다.
척추측만증을 조기발견하여 치료하면 합병증없이 치료가 가능하지만, 이를 방치하여 악화되면 통증뿐만아니라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본서부병원 원장 / 신경외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