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도 없는데 뼈가 약해지는 질병
증상도 없는데 뼈가 약해지는 질병
  • 정호연 교수
  • admin@hkn24.com
  • 승인 2019.04.02 08: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코리아뉴스 / 정호연 교수] 겉으로는 전혀 티가 나지 않아 알기 어려운 골다공증, 골다공증 환자의 91%는 50세 이상 여성이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7년 골다공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질병코드 M80, M81, M82) 92만647명 중에서 50세 이상 여성의 수는 86만4277명으로 약 91%에 달했다. 골다공증은 유독 왜 50대 이상 여성에게 잘 걸리는지, 보이지도 않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골절 후에나 알 수 있는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지고 그로 인해 쉽게 골절에 이를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뼈 안에는 콜라겐, 칼슘, 인 등의 구성 물질이 꼼꼼하게 채워져 있는데, 이 중 오래된 뼈조직을 새로운 뼈조직으로 교체하는 과정이 이뤄진다. 건강한 뼈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과정이 잘 이루어져야 하는데, 파괴되는 양보다 새롭게 보충되는 뼈조직이 적으면 뼈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서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밀도가 낮아진 뼈는 그 자체만으로는 거의 증상이 없지만, 구멍 뚫린 스펀지처럼 조직이 헐거워져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러질 수 있다.

 

50대 이상 여성이 90% 이상 차지

국내에는 60대 이상 10명 중 1명은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꾸준히 느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골다공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질병코드:M80,M81,M82) 2013년 82만2675명에서 2017년 92만647명으로 10% 이상 증가했다. 2017년 전체 환자 92만647명 가운데 50대 이상 여성 환자가 86만4677명으로 90%가 넘었다.

중년여성에서 골다공증이 많은 이유는 다름아니다. 남성·여성 호르몬은 칼슘을 뼈로 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폐경기를 거치면서 여성 호르몬이 감소하면서 골밀도가 줄어들게 된다. 실제로 폐경 이후 첫 5~10년 동안 골밀도가 25~30% 가량 줄어들 수 있는데 이런것이 골다공증을 가져온다.

 

평소에는 증상이 전혀 없다가 골절로 발견

골다공증 그 자체는 증상이 거의 없다. 마치 뼈대를 덜 세워 부실공사를 한 건물이 무너지기 전에는 외관이 멀쩡한 것과 같다. 대부분은 뼈가 부러져 살펴보니 골다공증인 경우가 많다.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가 부러지기 쉬운 부위는 손목, 척추(허리 뼈), 대퇴골(넓적다리뼈)이다. 특히 척추 골절이 발견된 환자는 큰 증상 없이 지내다가 검사 중 우연히 질환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50세 성인이 평생 살아가는 동안 골다공증 골절이 발생될 수 있는 확률은 여성 59.5%, 남성 23.8%에 이를 정도로 매우 흔하다.

 

50세 이상이면 골밀도 검사 필수

골다공증은 증상도 없고 보이지도 않기 때문에 폐경 이후의 여성이거나 50세 이상의 남성이라면 2~3년에 한 번씩 골밀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또 골다공증 골절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조기 폐경, 만성 질환, 장기간 약제 복용, 과도한 음주, 흡연, 마른 체형 등이라면 검사해 볼 필요가 있다. 골밀도는 T-값과 Z 값으로 진단하는데, T-값은 동일 성별에서 젊은 성인 집단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해 표준편차로 나타낸 값이며, Z-값은 같은 연령대와의 골밀도 차이를 나타낸다. 폐경 이후의 여성, 50세 이상 남성의 경우에는 T-값으로 골다공증을 진단하는데, 세계보건기구의 골밀도 진단 기준에 따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심한 골다공증'으로 나눈다.

 

젊을 때부터 칼슘‧비타민D 섭취와 운동 필요

골다공증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우선 '최대 골량'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이 되는 동안 우리 몸의 뼈는 일정 시기가 되면 일생 중 가장 튼튼한 뼈를 형성하는데, 이를 최대골량이라고 한다. 주로 10~20대에 형성되며, 평생 뼈 건강을 좌우한다. 최대 골량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유전적 성향이지만 청소년기의 걷기나 달리기 같은 신체 활동과 칼슘‧비타민D의 충분한 섭취가 최대골량 형성에 도움이 된다.

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정호연 교수

나이가 들어서는 예방과 치료를 위해 생활양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삼가는 것이 좋다. 주 15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 (걷기)을 꾸준히 하고 주 2회 근력 강화 운동을 하면 좋다. 또한 균형 감각 유지를 위한 운동도 필요하다. 골다공증에 중요한 영양소는 칼슘과 비타민D 이지만 일반적으로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식생활은 단백질(고기, 생선, 달걀, 콩류)을 매일 3-4회, 채소류는 매 끼니 2가지 이상, 과일류 매일 1-2개, 우유 및 유제품을 매일 1-2 잔 섭취하도록 권고한다. 비타민 D을 위해서는 햇볕을 적당히 쬐는 것도 중요하다.

식사를 통해 보충이 어려울 경우 보충제를 사용할 수 있고 과도하게 보충하지 않는 다면 안전하다. 신결석이나 심혈관 질환이 있다면 특히 과도한 보충은 피하는 것이 좋고 가능하면 식사를 통해 보충하는 것이 좋다. 식사를 통해 보충된다면 꼭 보충제를 먹을 필요는 없다. [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