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이동근 기자] 테노포비어(‘비리어드’ 등)가 엔테카비어(‘바라쿠르드’ 등)보다 간암 발생률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은 테노포비어 혹은 엔테카비어로 치료받은 환자 2만4156명을 대상으로 최대 5년까지 추적 관찰, 간암 및 사망·간이식 발생 위험을 비교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테노포비어 복용군의 간암 발생 위험은 연간 0.64%(100명당 0.64명)로, 엔테카비어 복용군의 1.06%(100명중 1.06명)에 비해 39% 더 낮았고, 사망·간이식 위험은 23% (연간 0.36% 대 0.50%) 더 낮았다.
이러한 차이는 다양한 통계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했을 때와 간경변증 존재 여부 등으로 세분화한 소그룹 분석결과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서울아산병원의 환자 진료 자료로 재검증한 결과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테노포비어와 엔테카비어 두 약제 모두 간암 발생위험 및 사망·간이식 위험을 낮추지만, 위험 감소의 정도에 있어서 테노포비어가 엔테카비어보다 더 우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관찰연구의 한계를 고려해 추후 무작위배정 임상시험(RCT)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두 약제는 만성 B형 간염 일차치료제로 약 25만명이 복용하고 있다.
연구책임자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미국·유럽·아시아-태평양 간학회 및 세계보건기구(WHO)의 만성B형간염 임상진료지침은 모두 테노포비어와 엔테카비어를 일차 치료제로서 우선순위 없이 동일하게 추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만성 B형간염 환자들에게 더 큰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일차 치료 약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최초의 근거를 생산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공동 연구책임자 NECA 고민정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공공자료원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청구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자료의 연계를 통해 B형간염 치료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용한 근거자료를 생산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의사협회 종양학회지에 게재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