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14개 나라 42개 기관에서 치료받은 1만8031명 간세포암종 환자의 실제 임상 특징 등을 7년간(2005년~2012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국가가 유럽-미국 가이드라인에서 권장하는 치료법과 다른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암병기와 상관없이 첫 치료법으로 경동맥화학색전술(TACE)을 가장 많이 시행했다. 진행된 간세포암종 환자들에서도 주로 항암제치료보다는 TACE 등의 국소치료술을 우선 적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간암을 일찍 발견하고 있는 일본이나 대만에서는 초기 치료법으로 고주파열치료술이나 절제술이 많이 시행됐다.
우리나라 환자들을 추적 관찰한 결과, 세계 간세포암종 환자들 중 알코올 남용률과 흡연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한국 간세포암 환자들의 경우 일본이나 대만에 비해 늦게 발견되지만, 미국이나 유럽·중국에 비해 치료 성적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제1저자인 박중원 교수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간세포암종의 조기진단이 생존율 향상을 위해 매우 시급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논문은 국제학술지인 ‘리버 인터내셔날’(Liver International) 3월자 온라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