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은 스트레스를 잘 받고 그에 따라 술도 많이 마시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성곤<사진> 교수팀은 ‘생물치료정신의학’ 최근호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18세 이상 신체 건강한 음주자 40명을 대상으로 매운 음식 선호도와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자를 '매운맛을 좋아하는 그룹'과 '매운맛을 덜 좋아하는 그룹'으로 나눠 스트레스를 준 뒤 타액에 들어있는 스트레스호르몬(코티졸) 수치를 비교 분석했다. 인위적으로 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으로는 1분간 7℃의 찬물에 왼쪽 손을 담그도록 하면서 오른쪽 손으로는 수학적 계산을 시행하는 방식이 반복적으로 사용됐다.
이 결과 매운맛 선호도와 시간에 따른 코티졸 수치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관찰됐다. 매운맛을 좋아하는 그룹은 실험 20분과 80분 경과 후 코티졸 수치(ng/㎖)가 각각 7.7, 5.3였다. 반면, 매운맛을 덜 좋아하는 그룹은 이 보다 낮은 6.7, 4.9였다.
연구팀은 시험이 진행되는 동안 매운맛을 좋아하는 그룹에서 스트레스 조절 장애가 생기면서 경미한 스트레스 자극에도 쉽게 과도한 스트레스 반응을 보인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알코올 중독 환자와 일반인 각 13명을 대상으로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중독 환자들이 매운 음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스트레스를 잘 받게 되고, 이는 결국 스트레스를 술로 푸는 습관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라며 “향후 매운 음식 소비와 음주, 스트레스 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알코올중독 등의 음주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