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도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최근 ‘e-Health Policy’ 10월호 ‘국가 재난에서 서울대병원의 역할’이라는 기고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신 교수는 “세월호 침몰은 수 백명의 인명을 앗아간 대형 참사라는 점에서 대규모 인명사고이지만, 국가 재난으로 정의된 이유는 국가의 대응능력을 넘어선 사고라는 점”이라며 “국가 재난임에도 결과적으로는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배 안에 갇힌 어린 학생들을 구조할 대응 능력이 대한민국 정부에 없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국가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점점 증가하는 재난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개별 임상학문의 취약성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재난환자에 대한 통합적 의료제공은 여전히 공백으로 남아 있다”며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의료를 제공할 의무와 권리를 갖고 있는 서울대병원이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대병원 내 상설적인 재난의료센터 설치를 제안했다.
신 교수는 “서울대병원 내 상설적인 재난의료센터를 설치해야 한다. 그래야 재난 상황발생 시 현장에서의 의료지원을 시작하고 국가 주요 기관들과 함께 적절한 의료진단과 치료계획을 제시할 수 있다”며 “재난 발생 시 필요한 전문 의료인력의 규모, 의료장비 등 의학적 근거에 기반한 재난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설 재난의료센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재난의학 연구소를 설립해 과학, 공학, 의학이 연계된 체계적인 재난의학 연구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재난의학은 개별 임상의학이 아니라 집단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며 “다양한 임상과목이 연계된 재난의학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돼야 하는데,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의대와 협의해 재난의학연구소를 설치하고 과학, 공학기술과 연계한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신 교수에 따르면 ▲대규모 환자 발생에서 집단 환자에 대한 영상진단 테크놀로지 ▲전문 의료 인력이 없는 상태에서 시술이 가능한 외과적 수술 기술 ▲진단 및 치료 장비를 소형화하고 최적화(Customizing)해 재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재난의학 장비 기술 ▲대규모 집단 중증환자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는 무인구급이송기술 등은 융합적 재난의학의 연구 주제들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한 만큼 재원 마련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상설 재난의료센터와 재난의학연구소를 설치해 운영하는 것은 막대한 예산과 투자를 필요로 한다”며 “이러한 비용은 개별 임상의학의 진료수익으로는 충당될 수 없고 국가가 육성해 지원해야 한다. 사회적으로 재난의학과 재난의료에 대한 체계적 대안 마련 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지속적인 투자를 위한 재원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