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식도 역류질환 수술 환자 10명 중 9명 증상 호전”
“위식도 역류질환 수술 환자 10명 중 9명 증상 호전”
박중민 교수, 3년간 국내 수술환자 분석결과 … "장기적 약물치료 한계"
  • 배지영 기자
  • admin@hkn24.com
  • 승인 2014.06.20 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흔히 완치가 힘든 것으로 알려진 위식도 역류질환이 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고, 수술을 받은 환자 중 90% 이상은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학교병원 외과 박중민 교수가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위식도 역류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 82명(21~86세로 남성 34명, 여성 48명)을 조사 분석한 결과 그 중 92%가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조사됐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은 가슴 쓰림, 역류 등의 전형적인 증상과 목의 이물감, 목통증, 호흡기 증상과 같은 비전형적 증상으로 나뉘는데, 전형적인 증상에 비해 비전형적 증상은 약물치료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복강경 위저추벽성형술 수술법 이미지

박 교수의 수술 환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 수술 환자 중 비전형적 증상의 환자가 약 70%를 차지했으며, 전형적인 증상의 환자에서는 92%가, 비전형적인 증상을 가진 환자에서는 72%가 수술 후 증상이 매우 호전된 가운데,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 및 사망 사례는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과거 약물치료에 잘 듣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외국의 수술 결과와도 같은 수준의 증상 조절 성공률을 보인 것”이라며 “한국에서도 미국이나 유럽에서처럼 항역류 수술이 위식도 역류질환에 있어 하나의 치료법으로 정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라고 말했다.

항역류 수술(복강경 위저추벽성형술)은 느슨해진 식도 하부를 복강경을 이용해 감싸주고 횡격막의 틈을 막아주는 것으로, 재발이 잘되는 환자들에게 보다 확실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치료법은 우리나라보다 위식도 역류질환 유병율이 두 배 이상 높은 미국이나 유럽에서 이미 50년 전부터 시행돼 효과와 안전성이 증명됐만, 국내에서는 과거 개복수술에 대한 부담과 인식 미비로 그동안 매우 드물게 시행돼 왔다.

또 그동안 복강경 수술이 발전하면서 항역류 수술도 급속히 발전해 위식도 역류성질환 치료의 한 방법이 됐지만, 아직도 극소수의 환자만이 수술적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 박중민 교수(오른쪽)가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박 교수는 “역류성 식도염은 완치가 안되는 병으로 생각하고 약물에만 의존해 오랜 기간 고통 속에 지내는 경우가 많은데, 자칫 방치될 경우 식도암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안전하고 비교적 간단한 수술을 통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므로, 약물 치료 외에도 수술이 또 다른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5월 개최된 ‘대한위암학회 국제학술대회(Korean International gastric cancer week 2014)’에서 발표됐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순호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3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