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 연구팀(김소영, 권태린 연구원)은 최근 ‘성장인자 혼합물이 미치는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합성 증진과 세포주기 조절을 통한 상처 치유 촉진 효과(Accelerating wound‑healing processes caused by recombinant growth factor mixtures inducing cell cycle progression and upregulation of type I collagen in human skin fibroblasts)’란 제목의 연구 논문을 국제 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체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 중 상처 치유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5가지 성장인자(표피성장인자·섬유아세포성장인자·각질세포성장인자·유사인슐린성장인자·SOD)를 이용해 세포 및 동물 실험을 시행했다. 그 결과, 해당 성장인자 혼합물이 콜라겐 형성 촉진과 상처 치유 조절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해당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더불어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Smad 2와 3, ERK(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 단백질의 활성화가 콜라겐 합성에 중요한 표적 단백질임을 확인했다.
Smad 2와 3은 세포 성장과 분화, 조절하는 성장인자(TGF-beta) 신호전달체계의 주요 매개 물질이며, 콜라겐 형성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성장인자 혼합물이 세포의 분화 및 이동을 촉진해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러한 과학적 논리는 향후 상처 치유제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뉴트렉스 및 태평양제약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시행됐으며, SCI저널인 영국의 국제분자의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