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잘자는 8가지 요령
잠 잘자는 8가지 요령
  • 고현석 선임기자
  • admin@hkn24.com
  • 승인 2012.12.30 10: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마다 연말이면 건강을 위해 새로운 다짐을 하면서 이런저런 계획을 세우는 사람들이 많다. 문제는 한 번 세운 계획이 과연 얼마나 지속되는가다. 한 통계에 따르면 새해 결심은 나이가 들수록 지키기 어렵다. 실제로, 20~30대 젊은 사람들은 39%의 목표 달성률을 보인 반면, 50대가 넘으면 비율이 14% 이하로 떨어졌다. 그렇지만, 올해도 한번 시도해 보자. 우선 건강의 기본 중의 기본인 잠. 미 온라인매체 허핑턴포스트가 전하는 ‘새해 잠 잘자기 목표달성을 위한 8가지 요령’을 요약한다.

   
▲ 숙면은 건강의 기본이다. 핸드폰 대신 자명종을 사용하는 것도 잠을 잘자기 위한 한 방법이다. (사진=포토애플/헬스포토)

 

1. 잠들기 한 시간 전에 모든 전원을 끈다.

스마트폰이 보급된 이후 요즘에는 잠자리에서도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SNS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성인의 95%가 일주일에 최소 두번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잠들기 전에 이용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빛은 뇌의 멜라토닌 분비를 교란시켜 긴장상태를 유발하므로 숙면을 위해선 모든 전자기기의 전원을 미련 없이 내려야 한다. 태블릿PC로 읽는 책은 편리하기는 하지만 건강, 특히 숙면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늘 명심해야 한다.

2. 휴대폰은 반드시 침실 밖에 둔다.

최근 미 타임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핸드폰을 머리맡에 두고 자는 사람이 전체 인구의 반 이상을 차지 한다. 특히 18~24세 연령대에서는 이 비율이 80% 이상을 넘어갈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휴대폰에서 나오는 조명도 치명적이지만, 잠자리에서 문자를 보내거나 이메일을 쓰게 되면 수면의 질은 더욱더 나빠질 수 밖에 없다. 새해에는 아예 침실에 들어가기 전에 서재나 거실 등에 휴대폰을 놓는 습관을 들여보자. 어쩔수 없이 곁에 두고 자야 한다면 알람 이외에 모든 소리는 무음모드로 맞춰놓아야 한다. 더 좋은 방법은 핸드폰 알람에 의존하지 말고 옛날에 쓰던 자명종을 다시 꺼내놓는 것이다.

3. 최소 7시간은 잔다.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야할 수면의 양을 일률적으로 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최소 7~9 시간은 자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수면부족은 심혈관질환과 비만 위험을 크게 높인다. 특히 여섯 시간 이하의 수면을 취하는 날들이 계속되면 위험도는  배가 된다.

4. 늦게 잘때도 일어나는 시간은 지킨다.

주말에 모임 등으로 자야 할 시간을 놓쳐 일요일에 늦게 일어나게 되면, 수면패턴이 금방 깨져버린다. 기상 시간에 한시간만 변화가 생겨도 생체시계가 바로 교란되므로, 될 수 있으면 수면시간을 지키고, 어쩔 수 없이 넘겼더라도 다음날 기상 시간은 지키는 것이 좋다.

5. 언제 무엇을 먹고 마셨는지 기억한다.

오후나 저녁시간에 간식을 먹거나 커피를 마시는 습관이 있다면 바로 버려야 한다. 전문가들은 잠들기 8시간 전에 커피 한잔만 마셔도 정상수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한다. 또,  잠들기 전에 술을 마시면 잠이 잘 온다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은 수면의 질은 크게 떨어져 수면부족과 같은 효과를 낸다.

6. 잠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된다.

수면시간이 적은 것을 자랑하는 사람들이 많다. “죽으면 실컷 잘텐데 뭐하러 7~8시간씩 자느냐”고 ‘잠꾸러기들’을 질타하기도 한다. 그러나 잠이 적은 것은 능력과 부지런함과 전혀 관계가 없다. 충분히 잠을 자는 것에 대해 나쁘게 생각하지도, 죄의식을 가질 필요도 없다. 잠에 대해 관대해져야 한다.

7. 아무리 노력해도 잠이 안 온다면, 차라리 일어나 활동한다.

잠이 안올 때 침대에서 일어나는 것은 가장 마지막 방법이다. 그러나 안오는 잠을 청하기 위해 뒤척이는 것보다는 잠깐이라도 일어나 활동을 하고 다시 침대로 돌아가는 것이 결과적으로 더 빨리 잠들 수 있는 비결이다. 적어도 누워서 시간를 확인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8. 전문의의 도움을 구한다.

위의 방법들을 모두 사용하고, 민간요법을 시도해도 수면의 질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마지막 방법은 전문의의 도움을 구해야 한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 등이 원인이라면 전문의의 치료를 받지 않고는 절대로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없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