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 진료환자 대부분은 30~50대
공황장애 진료환자 대부분은 30~50대
2018년 진료환자 15만9000명 … 30~50대가 10만명

“자원 결핍·이혼 등 생활사 기복이 가장 많은 연령대”
  • 박정식
  • admin@hkn24.com
  • 승인 2019.12.23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코리아뉴스 / 박정식] 최근 5년간 공황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30~40대 중장년층이 전체진료 환자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란 죽임이 임박할 것 같은 극심한 불안과 함께 두통, 현기증,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저림 등의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불안장애를 말한다.

 

연도별 공황장애 질환 진료인원 현황.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연도별 공황장애 질환 진료인원 현황.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년부터 2018년간 건강보험 가입자 중 공황장애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18년 15만9428명으로 집계됐다. 2014년 9만3525명과 비교하면 70.5%나 증가한 수치다. 연평균으로 따지면 14.3%씩 늘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2014년 4만3732명에서 2018년 7만3418명으로 67.9%(2만9686명) 늘었으며, 여성은 2014년 4만9793명에서 2018년 8만6010명으로 72.7%(3만6217명)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13.8%, 14.6%다.

2018년 기준 연령대별로 진료현황을 보면 40대 환자(3만8825명·24.4%)가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3만3057명·20.7%), 30대(2만9530명·18.5%) 순이었다. 30대부터 50대까지 환자 수는 전체 환자(15만9428명)의 3분2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선영 교수는 “공황장애의 위험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자원의 결핍, 흡연, 알코올 문제, 최근의 이혼이나 이별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 등이 있다”며 “이러한 생활사의 기복이 가장 많은 연령대에 호발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령대 및 성별 공황장애 질환 진료인원.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연령대 및 성별 공황장애 질환 진료인원.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공황장애 질환의 진료인원은 30대부터 50대까지 환자가 많은 반면, 공황장애 질환 연평균 증가율은 20대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20대가 24.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10대 이하가 18.1%를 기록하며 젊은층에서 증가율이 높았다.

박선영 교수는 “최근 학업, 취업 등 사회 초년기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대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공황장애 발병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이는 20대에서 우울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공황장애와 우울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며, 공황장애에서 주요우울증이 약 25%에서 공존한다”고 말했다.

 

연도별 공황장애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연도별 공황장애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공황장애 환자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4년 312억원에서 2018년 616억원으로 304억 원이 늘어 연평균 18.6% 증가했다.

입원진료비는 2014년 16억원에서 2018년 23억원으로 연평균 9.5% 늘었고, 외래는 같은 기간 242억원에서 497억원으로 연평균 19.7%, 약국은 54억원에서 96억원으로 연평균 15.5% 증가했다.

 

아래는 박선영 교수가 설명하는 공황장애 증상 및 원인과 치료법, 치료 시 주의사항이다.

1. 공황장애 증상

공황장애는 반복적인 공황발작과 예기불안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먼저 공황발작은 갑작스럽게 심한 공포나 불편함이 수분 내 최고조에 이르고, 이 동안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빈맥, 심장의 두근거림, 호흡곤란, 발한 등이 있으며, 정신적 증상으로는 극심한 불안, 죽을 것 같은 두려움, 정신을 잃을 것 같은 두려움 등이 있다.

예기불안은 공황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어 공황발작을 경험한 상황에 노출될 것을 상상하거나 노출되기 전 공황발작과 비슷한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공황발작이 올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공황발작이 올 것만 같은 장소(공공장소, 답답한 장소, 대중교통, 터널 등)를 회피하게 된다. 이러한 회피 증상은 불안을 지속, 강화시키고, 일상생활을 위축시키기도 한다.

2. 공황장애 원인

공황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은 신체 내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외부 유발 물질로는 이산화탄소, 카페인 등이 있다.

심리적으로는 신체감각에 대한 예민함이 공황장애 발병에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불안 민감성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심리적 현상은 사소한 감각이나 불편도 ‘큰 병이 아닐까, 죽는 것이 아닐까, 공황발작이 오는 것은 아닐까’하는 공포로 이어지게 되고, 이 공포가 자율신경계 각성을 유발하여 증상을 악화시키게 된다

공황장애의 위험요인으로는 청장년 시기의 나이, 여성, 사회경제적 자원의 결핍, 흡연, 알코올 문제, 부모의 정신장애, 생애초기 외상적 사건이나 학대, 불안성 기질, 최근의 이혼이나 이별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 등이 있다.

3. 공황장애 진단 및 검사

반복된 공황발작과 예기불안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전문의의 면담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다만 먼저 공황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약물이나 내외과적 질환을 우선 감별해야 한다.

카페인 및 각성제(일부 다이어트 약물 등)나, 알코올 금단증상도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감별해야 할 내외과적 질환으로는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저혈당증 등이 있다. 보통 이러한 질환을 감별하기 위한 기본적인 검사들을 진행한다.

4. 공황장애 치료방법

공황장애 환자는 증상을 심장, 호흡기 질환으로 생각해 응급실이나 일차진료의원을 흔히 이용하는데, 이렇게 진단이 미뤄져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때로는 응급실이나 일차진료의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권유받았더라도,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에 대한 거부감으로 치료를 늦추는 경우가 있다.

먼저 공황장애 약물치료의 목적은 공황발작의 반복을 줄이는 것인 동시에, 예기불안, 회피행동 및 우울증 같은 공존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흔히 항우울제로 알려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빠른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유용하다. 공황장애의 약물치료 효과는 약 3개월 후 평가를 하며, 약물에 반응을 한 이후에도 약 6개월 이상 치료를 지속한다. 만성적이고 재발이 잦아 대개 12-24개월 정도의 유지치료를 권장한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가 입증돼 있다. 공황장애에 대한 교육을 통해 쉬이 불안해지지 않도록 안심하고, 예기불안이 공황발작을 유지·악화시키는 것에 대해 인지오류를 교정하고, 불안반응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5. 공황장애 예방법

가장 쉬운 공황장애 예방법은 위험요인을 피하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연·금주가 매우 중요하다. 커피를 많이 마시는 것 또한 공황발작을 유발, 악화시킬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