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기 중년 여성, 복부비만 있으면 심혈관질환 위험 상승
폐경기 중년 여성, 복부비만 있으면 심혈관질환 위험 상승
“복부비만 잇는 중년 여성, 50% 이상 폐쇄성 관상동맥질환도 있어”
  • 서정필
  • admin@hkn24.com
  • 승인 2019.12.02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코리아뉴스 / 서정필] 폐경 이후 복부비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년 및 노년 여성에게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순환기내과 김학령, 김명아 교수와 중앙대병원 순환기내과 조준환 교수 연구팀은 대한심장학회 산하 여성심장질환연구회의 여성흉통등록사업연구(KoROSE) 데이터 중 관상동맥질환이 의심돼 침습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55세 이상 여성 659명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해 비만 여부와 유형에 따른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비교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

여성호르몬의 생산이 크게 저하되는 폐경기 이후에는 정신적·신체적인 이상이 나타나기 쉽다. 호르몬 분비 저하로 우울증이 동반되기도 하고, 전신 피로가 증가하거나 기억 장애를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근육량과 기초대사량이 함께 감소해 운동 능력은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반면, 체지방은 상대적으로 증가해 비만을 불러오기도 한다.

분석 과정에서 연구팀은 관상동맥 직경이 50% 이상이 협착된 경우 폐쇄성 관상동맥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BMI(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일 경우 비만으로 진단하고 허리둘레가 85cm 이상인 환자는 복부비만으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전체 659명 중 47.2%인 311명에게서 폐쇄성 관상 동맥 질환이 발견됐다. 이들의 임상적 특징으로는 대조군에 비해 평균 연령이 3세가량 높았으며, 고혈압과 당뇨 등 심혈관질환 발생의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비율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만 유형에 따른 폐쇄성 관상동맥질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복부비만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발견됐다. 복부비만이 아닌 여성의 경우 41%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데 비해, 복부비만 여성의 경우 15% 가량 많은 55.5%에서 폐쇄성 관상동맥질환이 진단됐다.

반면, BMI 25 이상으로 비만이 진단된 경우에서는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아 비만 중에서도 복부비만에 해당할수록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명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폐경 이후 복부비만이 진단된 중년 여성일수록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 여성의 데이터를 토대로 얻어낸 결과라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김학령 교수는 “관상동맥질환은 지속될 경우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으로 이어져 심할 경우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며 “폐경기 여성의 경우, 관상동맥질환의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평소 꾸준한 운동과 식습관 조절을 통해 복부비만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북미 폐경학회 학술지인 ‘폐경(Menopause)’에 지난 8월 실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