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울증 환자 급증 ... 2017년 조울증 진료비 1042억
조울증 환자 급증 ... 2017년 조울증 진료비 1042억
2013~2017년 조울증 진료인원 연평균 4.9% 증가 ... 남성보다 여성, 20·70대 증가율 높아

조울증 재발 비율 높아 ...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사회적 갈등 다루는 정신치료 병행해야
  • 이민선 기자
  • admin@hkn24.com
  • 승인 2019.03.14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헬스코리아뉴스 / 이민선 기자] 양극성 장애, 조울증 환자가 남녀노소 모두에게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 ‘조울증(양극성 정동장애, F31)’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진료인원이 21.0% 증가했으며 20대 청년층과 70대 이상 노령층에서 빠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양극성 정동장애는 기분이 들뜬 상태인 조증과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는 우울증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정신장애로 흔히 ‘조울증’이라 불린다. 이는 기분·생각·행동 등에 극단적인 변화가 일어나 약물이나 상담 등 꾸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이다.

 

 

양극성 장애, 조울증 진료인원 꾸준히 증가 ... 여성과 청년·노인층 증가율 특히 높아

지난 2013~2017년간 조울증 환자 분석한 결과 5년간 진료인원이 21.0% (연평균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건강보험 조울증 환자는 8만6706명으로 최근 5년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조울증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이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을 보였다. 

남성은 2013년 2만9576명에서 2017년 3만5908명, 여성은 2013년 4만2111명에서 2017년 5만 798명으로 연평균 각각 5.0%, 4.8% 증가했다. 성별 진료실 인원은 5년간 여성이 남성보다 1.4배 많았다.

 

<연도별 건강보험 ‘조울증’ 진료실인원 현황 >(단위: 명)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증감인원

(‘13년대비)

증가지수 (‘13년대비)

연평균

증가율

합계

71,687

75,656

78,668

82,605

86,706

15,019

1.21

4.9%

남성

29,576

31,408

32,863

34,398

35,908

6,332

1.21

5.0%

여성

42,111

44,248

45,805

48,207

50,798

8,687

1.21

4.8%

성비

1.4

1.4

1.4

1.4

1.4

-

-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이정석 교수는 "조울증은 해외 연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약 2~3%의 유병율을 보이며, 국내 2011년 행해진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유병율이 4.3%로 밝혀졌다"며 "최근 양극성장애 진료인원이 많이 증가하였으나 아직도 전체 인구로 따지면 0.2%에 못 미친다. 실제 조울증에 걸린 사람이 증가했다기보다는 조울증으로 진료를 받는 인원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이전 역학연구 결과를 고려해보면 아직도 양극성 장애 환자 중 대다수가 치료를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 조울증은 남녀 관계없이 동일한 유병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 최근 연구들을 보면 여성에서 조금 더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결과 여성환자가 더 많은 이유로는 임신·출산과 그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가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2013~2017년 연령대별 ‘조울증’ 진료실인원 현황 >(단위: 명)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연평균

증가율

증감률 (‘13년대비)

전체

71,687

75,656

78,668

82,605

86,706

4.9%

21.0%

19세 이하

3,367

3,296

3,128

3,192

3,418

0.4%

1.5%

20대

10,491

11,157

11,723

12,861

14,424

8.3%

37.5%

30대

13,477

13,633

13,875

14,261

14,684

2.2%

9.0%

40대

14,566

15,048

15,138

15,461

15,685

1.9%

7.7%

50대

13,069

13,539

13,784

13,936

14,091

1.9%

7.8%

60대

7,947

8,732

9,630

10,169

10,489

7.2%

32.0%

70대 이상

8,770

10,251

11,390

12,725

13,915

12.2%

58.7%

특히, 조울증 환자는 70대 이상 노령층과 20대 청년층에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5년간 연령대별 연평균 증가율을 비교해보면 70대 이상이 12.2%로 전체 연령대 연평균 증가율인 4.9%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또한 8.3%로 그 뒤를 이었으며, 60대도 7.2%로 나타나 60대 이상과 20대 환자의 증가세가 뚜렷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이정석 교수는 "최근 5년간‘조울증’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이 70대 이상과 20대에서 뚜렷한 증가 추세에 있는 원인에 대해 양극성 장애 환자들은 여러 만성병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아 일반 인구에 비해 10~20년 정도 수명이 짧다는 연구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최근에 의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환자들의 수명도 늘어나면서 젊은 시기에 양극성 장애 진단을 받고 노년기에 접어드는 경우가 많아졌고, 노년기에 새로 양극성 장애가 발생한 환자들이 합쳐져 70대 이상에서 진료인원이 증가된 것으로 보인다."며 "노년기에는 가까운 사람들이 세상을 떠나거나 신체적 질병에 시달리는 등 여러 스트레스 요인이 많기 때문에 양극성 장애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 교수는 20대 환자가 늘어난 원인에 대해서는 무한경쟁 시대에서의 학업·취업 스트레스 등을 꼽았다. 

 

<2013~2017년 연령대별 인구 10만 명당 ‘조울증’ 진료실인원 현황>(단위: 명)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연평균

증가율

증감률 (‘13년대비)

전체

143

150

156

163

170

4.4%

18.7%

19세 이하

32

32

31

33

36

3.0%

12.4%

20대

157

166

173

188

209

7.4%

32.9%

30대

167

172

178

186

195

4.0%

16.8%

40대

166

171

173

178

182

2.2%

9.2%

50대

167

169

169

169

169

0.3%

1.1%

60대

185

193

197

196

192

0.9%

3.6%

70대 이상

227

255

275

295

305

7.6%

34.1%

 

지난 2017년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70대 이상 환자(305명, 전체 170명 대비 1.8배)가 가장 많았고 20대(209명), 30대(195명) 순으로 나타났다. 5년간 연평균 증가율 또한 70대 이상 환자 비율이 7.6%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7.4% 그 뒤를 이어 다른 연령대의 증가율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2013~2017년 연령대별 성별 인구 10만 명당 ‘조울증’ 진료인원 현황>(단위: 명)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연평균

증가율

증감률 (‘13년대비)

전체

118

124

129

135

140

4.5%

19.4%

19세 이하

31

32

31

32

34

2.1%

8.5%

20대

133

143

153

169

184

8.5%

38.4%

30대

124

130

136

140

147

4.4%

18.6%

40대

130

132

137

141

145

2.8%

11.6%

50대

135

137

136

137

137

0.5%

2.1%

60대

168

174

178

174

169

0.1%

0.4%

70대 이상

228

250

265

274

279

5.2%

22.5%

전체

169

177

182

191

200

4.3%

18.1%

19세 이하

33

32

31

33

38

3.8%

16.3%

20대

184

192

195

210

238

6.5%

28.8%

30대

213

217

223

234

246

3.8%

15.9%

40대

205

211

211

216

220

1.8%

7.6%

50대

200

201

203

202

201

0.1%

0.5%

60대

201

210

215

217

214

1.5%

6.2%

70대 이상

227

258

282

309

323

9.2%

42.1%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의 연령대별 연평균 증가율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최근 5년간 남자는 20대 환자가 8.5%(여자 20대, 6.5%)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반면, 여자는 70대 이상이 9.2%(남자 70대 이상, 5.2%)로 가장 높았다.

이정석 교수는 "70대 이상에서 여성의 진료 인원 증가율이 높은 이유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평균 수명이 길기 때문"이라며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더 오랜 시간을 살아가면서 남편의 사별 등 많은 상실을 경험할 수 있고 이러한 스트레스가 양극성 장애 발병과도 연관될 수 있다"며 "20대 이상에서 남성의 진료 인원 증가율이 높은 이유는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남성이 정신질환에 대한 생물학적 취약성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조현병 등 다른 정신질환에서도 남자가 더 어린 나이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형태별 ‘조울증’ 진료비 현황>(단위: 억 원, 천 원)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연평균

증감률

증감률

(‘13년 대비 ’17년)

전체

872

906

963

1,010

1,043

4.6%

19.5%

(1인당)

1,217

1,197

1,224

1,222

1,202

-0.3%

-1.2%

입원

445

457

502

519

513

3.6%

15.2%

(1인당)

4,359

4,501

4,804

5,154

5,227

4.6%

19.9%

외래

339

355

363

385

413

5.1%

21.9%

(1인당)

493

488

480

483

493

0.0%

-0.2%

약국

88

94

98

106

117

7.3%

32.4%

(1인당)

457

435

425

416

415

-2.4%

-9.2%

이에 조울증 입원 환자 진료비가 빠르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울증 질환의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3년 872억 원에서 2017년 1042억 원으로 2013년 대비 170억 원인 19.5% 증가했다. 

 

조울증, 복합적 요소로 발병 ... 규칙적인 생활과 햇빛 많이 쬐는 것 도움돼

이정석 교수는 ‘양극성 장애(조울증)’ 의 증상 및 원인, 치료방법 및 예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먼저 조울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비정상적으로 기분이 들떠 있는 조증과 기분이 두드러지게 저하된 우울 상태가 번갈아가면서 나타난다. 그래서 우울 상태에 접어들었을 때는 일반적인 우울증과 유사하게 슬픔이 지속되고 이유 없이 눈물이 나거나 식욕, 수면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의욕이 없어지게 된다. 반면 조증 상태일 때는 신체, 정신 활동이 활발해지고 에너지가 넘치며 과도한 자신감을 보이며 쉽게 화를 내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한 가지 원인에 의한 것이 이 아닌 여러 요소가 함께 작용하여 발생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뇌 안에서 기분 조절에 관련되는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의 불균형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도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뇌의 기분조절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현재 양극성 장애 진단을 위한 특별한 검사는 없다. 모든 진단은 환자의 현재 임상증상과 과거의 기분상태가 어땠는지를 심층면담을 통해 파악한 뒤 이루어진다. 즉 양극성 장애가 의심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면담이 꼭 필요하다. 

증상의 빠른 안정과 재발방지를 위해서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하며 기분안정제와 항정신병약물 등이 주로 쓰인다. 증상이 심해서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안전을 위협할 정도가 된다면 꼭 입원치료를 고려해봐야한다. 증상이 안정됐다하더라도 양극성 장애는 자주 재발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꾸준한 약물치료가 중요하다. 증상을 악화시키는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사회적 갈등을 다루는 정신치료도 함께 병행된다.  

무엇보다 조울증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다. 생활리듬에 큰 변동이 오면 기분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늦잠·낮잠을 자지 않고 규칙적인 시간에 자고 일어나며, 낮의 활동을 늘려서 햇빛에 많이 노출되도록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헬코미디어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2길 45, 302호(상암동, 해나리빌딩)
      • 대표전화 : 02-364-2002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슬기
      • 제호 : 헬스코리아뉴스
      • 발행일 : 2007-01-01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17
      • 재등록일 : 2008-11-27
      • 발행인 : 임도이
      • 편집인 : 이순호
      • 헬스코리아뉴스에서 발행하는 모든 저작물(컨텐츠,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복제·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이슬기 02-364-2002 webmaster@hkn24.com
      • Copyright © 2024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hkn24.com
      ND소프트
      편집자 추천 뉴스
      베스트 클릭